![]() |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로 경로당 및 노인여가시설 운영이 가능해진 첫 날인 25일 대전 유성구 노인복지관에서 노인들이 난타를 배우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지난해 5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국제네트워크 가입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시는 청년친화도시 정책과 병행되는 '세대 융합형 모델'을 내세우며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대전은 최근 12년 만의 인구 반등세로 청년 친화 도시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 문턱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구조가 양극단으로 치우치는 상황에서, 시가 고령층 정책을 강화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즉, 인구 증가라는 '양적 성과'를 질적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령층의 삶의 질 보장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청년 유입으로 활력을 얻는 도시가 아니라, 고령층이 안전하고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 |
대전 유성구노인복지관 평생교육원 숲요가 교실에 참석한 어르신들이 야외에서 요가를 하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더 나아가 기초연금 확대, 노인일자리 2만 3800여 개 창출, 신규 아이돌봄 시범사업 도입은 단순 생계 보장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고령층을 '보호 대상'이 아닌 '활동 주체'로 바라보는 정책 전환으로, 사회 참여와 세대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WHO가 제시하는 고령친화도시 8대 기준은 교통, 주거, 사회참여, 보건서비스, 정보 접근성 등이다. 대전은 저상버스 확충, 경로당 운영비 증액, 공기순환기 보급, 보조보행기 지원 등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가 국제사회에서 주목받는 지점은 단순한 기준 충족이 아니다. 청년 친화 정책으로 인구 반등에 성공한 도시가 동시에 고령친화 정책을 병행한다는 점에서, 세대 간 균형과 공존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실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 다른 대도시들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하지 못한 차별점이다.
대전시의 고령친화 전략은 단기적 복지 지표 개선에 그치지 않는다. 시는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의 기능을 개선하고, 치매 돌봄 전문시설을 확충하며, 나아가 장례문화 변화에 대응한 장사시설 현대화까지 포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태어나서 마지막 순간까지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도시'라는 비전을 뒷받침한다.
궁극적으로 대전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청년이 머무는 도시, 어르신이 행복한 도시'다. 이는 단순한 인구정책이 아니라, 미래형 복지 도시 모델이자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최화진 기자
![]() |
지역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인일자리 카페 개소식이 24일 대전 대덕구 e편한세상대전법동 커뮤니티센터에서 열려 시니어 직원들이 음료를 만들고 손님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