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르신들이 용문종합사회복지관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사진=용문종합사회복지관 |
이는 단순한 홍보용 타이틀이 아니라 도시 행정의 방향이 국제 기준에 맞춰가고 있다는 객관적 근거로 받아들여 진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전시의 이 같은 행보는 선제적 대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점은 대전이 고령친화 정책을 단독으로 추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청년 정책과 병행하며 '세대 융합형 모델'을 실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구 반등세로 청년 유입에 성공한 도시가 동시에 노년층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전략을 병행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도시 성장의 활력이 젊은 세대에서 비롯되지만, 안정감과 지속 가능성은 고령층의 삶의 질 보장에서 나온다는 점을 간파한 것이다. 이는 대전만의 강점이자 차별성으로 꼽힌다.
![]() |
유성노인대학 2학기 개강식에서 신기영 지회장이 격려사를 하고 있다./사진=유성구 제공 |
따라서 대전이 풀어야 할 과제는 생활 공간 전반에서 어르신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촘촘히 쌓아가는 일이다.
또 하나 중요한 방향은 돌봄에서 활동으로의 전환이다.
지금까지 고령사회 정책은 대체로 취약계층 보호와 돌봄 서비스에 무게가 실려왔다. 그러나 초고령사회로 갈수록 단순 보호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고령층을 사회의 부담이 아닌 자산으로 바라보는 전환이 필요하다. 어르신들이 지역 공동체의 주체로 활동하고 경험과 역량을 사회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면, 고령사회는 위기가 아니라 기회가 될 수 있다.
대전이 추진 중인 세대 교류나 사회참여 프로그램은 그 방향을 암시하지만, 앞으로 더 폭넓고 다양한 분야로 확장해야 한다.
![]() |
국제 인증으로 출발한 대전은 이제 국제 모델로 도약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 길은 쉽지 않지만, 지금처럼 세대 간 균형과 생활 속 체감을 중시하는 방향을 놓치지 않는다면 대전은 전국은 물론 세계가 주목하는 지속 가능한 고령친화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