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둔산지구 내 아파트.(사진=중도일보DB) |
국토교통부는 최근 경기도와 수도권 1기 신도시(고양·성남·부천·안양·군포) 지자체와 협의체를 열고, 내년도 정비물량 한도를 기존 2만 6000세대에서 최대 7만 세대까지 늘리기로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내년 재건축 구역의 지정 상한은 ▲고양 일산 2만 4800세대 ▲부천 중동 2만 2200세대 ▲성남 분당 1만 2000세대 ▲안양 평촌 7200세대 ▲군포 산본 3400세대 등이다. 중동과 일산 등은 물량 상한이 기존보다 5배가량 늘어났다.
공모를 통해 선도지구를 지정하는 선정 방식도 바뀐다. 지난해 11월 선정된 선도지구 15곳은 정부 공모 절차를 거쳤지만, 내년부터는 주민들이 대표단을 꾸려 정비 계획안을 직접 제안하는 '주민 제안' 방식이 적용된다. 국토부는 공모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소 6개월 이상 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구역지정 예정물량을 늘리고, 후속대책인 주민제안 방식에 힘을 실은 건 더 많은 정비사업을 동시에 추진해 공급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특히 올해 수도권 집값이 들썩이기 시작한 만큼, 노후 주거지 정비를 서둘러 주택 공급 기반을 빠르게 확충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임기 내 6만 3000세대 착공을 위해 정책적 지원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사업 조기 추진책을 잇따라 내놓는 가운데 오는 11월 기본계획 수립 행정절차 착수와 선도지구 공모 공고가 예정된 대전도 관련 준비에 한창이다. 특히 둔산지구의 각 아파트 단지에서 출범한 통합 추진준비위원회는 최근 각종 설명회를 통해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둔산 1지구의 가람·국화·청솔 아파트 단지는 두 곳의 추진준비위원회가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한주 가람아파트 위원장을 필두로 나선 추진준비위는 이달 7일 가람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입주민 80여 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초청 설명회를 열었고, 박찬명 국화아파트 위원장이 중심이 된 추진준비위는 24일 평송청소년수련원에서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진행했다.
둔산 2지구 만년동 강변·상아·초원·상록수(강상초록) 아파트 단지의 통합 추진준비위는 단지별로 준비위원들을 조기에 확보하며 보다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남창섭 추진준비위원장을 중심으로 구성된 강상초록 추진준비위는 이달 20일 만년동 둔천초에서 열린 '제3회 만년동 어울림 한마당' 마을 축제 현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주민들에게 통합 재건축의 필요성과 향후 계획을 안내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