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국감은 내년 6월 3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7개월 여 앞두고 이뤄진다. 이재명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의 지방선거를 앞둔 터라 지역 현안 해결을 모색하기보다 자칫 여야의 힘겨루기 장이 될 우려를 낳고 있다. 충청권 시·도 단체장 모두 국민의힘 소속으로 상황 변화가 없는 한 지방선거 재도전이 확실시 된다. 민주당의 시·도정에 대한 집중 공격과 국민의힘이 이를 방어하는 양상이 될 공산이 크다.
충청권에 당면한 현안은 산적해 있다. 대전·충남이 뒤늦게 혁신도시로 지정된 지 5년이 흘렀지만 공공기관 이전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전교도소 이전 문제도 마찬가지다. 세종시는 열악한 재정으로 몸살을 앓고 있고, 시민들은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의 구체적 이전 로드맵을 궁금해 한다. 한때 국가 수출을 주도했던 충남 대산석유화학단지 기업과 당진 현대제철은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
국감에서 잘못된 시·도정에 대한 비판을 할 수 있지만 정쟁의 장이 돼선 곤란하다. 지역의 당면한 현안을 경청하고, 정치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국가적으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라는 경험하지 못한 난제에 봉착해 있다. 기업과 국민이 노심초사하며 주시하는 관세 협상의 성패는 국가 경제 근간을 흔드는 폭발력을 가진 사안이다. 추석 연휴를 끝내고 충청권을 비롯해 동시에 시작되는 국감은 정쟁의 무대가 아니라 불안한 민심을 보듬는 시간이 돼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