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대 대덕캠퍼스 전경 |
고현덕 시 교육정책전략국장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교육·연구·산업이 선순환하는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대전을 청년이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교육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시에 따르면 충남대는 공주대와 통합을 기반으로 '초광역 국립대학'이라는 새로운 대학 혁신모델을 제시했다. 지산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과 응용융합기술원 설립 등 지방대의 혁신을 견인할 구체적인 실행전략이 평가 위원들에게 좋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대전시는 충남대(공주대와 통합)의 실행 계획이 지역산업과 긴밀히 연계돼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또, 충남대가 지역거점대학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 청년이 머무르고 돌아오는 정주 환경 조성과 초광역 교육·연구, 인재 양성 생태계 구축 등 실질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지역의 모든 대학과 함께 라이즈(RISE)사업을 통한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학이 지역의 혁신 주체로서 지역 인재를 양성해 청년이 지역에서 취업하고 성장하고 정주할 수 있는 전 생애주기의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정부의 인공지능(AI) 핵심인재 양성 정책에도 발맞춘다.
인공지능(AI) 중심 대학으로의 전환과 인공지능 전환(AX) 대학원 설립 등도 적극 지원해 첨단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딥테크 특화 창업지원 정책과도 연계해 대학의 지역 혁신 생태계 활성화와 미래 산업 인재 양성에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