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9번 국도 산청읍 로터리 공사 전경<사진=김정식 기자> |
이곳은 산청읍 중심에서 차황면, 오부면, 금서면, 진주 방향 등 5개 노선이 만나는 주요 교통 요충지다.
교통량은 많지 않지만 크고 작은 사고가 반복돼 온 구간으로, 안전 확보를 위해 공사가 추진됐다.
그러나 완성된 구조는 도로 폭이 좁고 중앙 원형이 과도하게 커 주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현장 구조를 보면 각 노선이 원형부 중심으로 집중돼 있으며 회전부는 단일 차로로 설계됐다.
원형의 직경은 인근 구간보다 크고 차로 폭은 상대적으로 좁다.
이 구조는 대형차 회전 반경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차량 간 간격이 좁아지고, 접촉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다섯 갈래 도로가 만나는 복합형 로터리로서는 비효율적인 설계로 지적된다.
국토교통부 '회전교차로 설계지침(2022)'은 접속로가 4개 이상일 경우 교통량과 대형차 비율을 고려해 회전차로 2차로 이상 또는 우회전 전용 차로를 검토하도록 명시한다.
또한 대형차가 통행하는 구간은 중앙 원형 일부를 낮춰 트럭 어프런을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산청읍 로터리는 중앙 원형이 크고 완만하지만 트럭 어프런 구간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 경우 대형차는 회전 시 차로를 벗어나거나 바깥 차선을 침범할 수 있다.
회전교차로 기본 목적은 속도를 낮추고 충돌 각도를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교통량이 적은 구간에서 원형을 크게 하면 오히려 회전각이 좁아지고 시야 확보가 제한된다.
속도 저감 효과보다 회전 제약이 커지고, 진입 차량 간 간격이 좁아지는 역효과가 생길 수 있다.
이 구간 특성상 속도보다는 시야와 회전 반경이 사고 방지 핵심 요소다.
단일 차로 회전교차로 시간당 용량은 약 1200대 수준이지만, 산청읍 구간의 문제는 교통량이 아니라 사고 패턴이다.
사고 다발 지역일수록 통계보다 공간 구조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번 공사는 사고 이력에 대한 원인 분석보다 표준 설계 적용에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속도는 줄었지만, 회전 안전성은 개선됐다고 보기 어렵다.
이 로터리는 산청읍을 중심으로 각 면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진입도로다.
향후 교통량이 늘지 않더라도 대형차 통행 빈도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중앙 원형의 축소와 회전차로 확장, 트럭 어프런 설치 여부 점검이 필요하다.
교통량보다 사고 패턴에 맞춘 설계 검증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도로 설계 목적은 단순한 규격 충족이 아니라 위험 감소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설계 기준에는 맞지만 주민 불편을 고려해 회전부 폭을 1~2m 정도 확장했다"며 "현재는 기층포장 단계라 좁게 느껴지지만, 본 포장 완료 후에는 훨씬 넓게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형차 회전 반경을 고려해 설계 조정을 진행 중이며, 감리단을 통해 추가 보완 여부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관리청 관계자에 따르면 본 포장은 오는 21일 전후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교통량이 적은 구간일수록 설계의 세밀함이 안전을 결정한다.
산청읍 국도59 로터리는 지금 형태로는 '속도는 낮추되 위험은 남긴' 구조로 평가된다.
안전은 수치가 아니라 공간 감각으로 증명돼야 한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