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성희 기자) |
1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추석 연휴 동안 국정자원 관계자 4명과 배터리 이전 사업에 참여한 민간업체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기존에 업무상실화 혐의로 입건된 현장 책임자 2명, 감리사 1명, 국정자원 관계자 1명 외에 추가로 1명 더 입건해 현재까지 총 5명을 입건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사고 당시 배터리 이전 작업을 위해 전력 메인 차단기는 내렸으나, "랙 차단기 차단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는 진술조사 과정에서 확보했다. 또 로그 기록상 배터리 충전률은 90%였으나, 전문가들은 보정률을 감안할 때 실제 충전률은 약 80%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경찰은 지난 2일 수사 인력 30명을 투입해 국정자원을 비롯해 배터리 이전 사업에 참여한 민간업체 3곳 등 4곳을 압수수색하고, 사업계획서와 배터리 로그 기록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동시에 발화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6개와 현장에서 수거한 전동드릴, 벨트형 공구꽂이 등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 감정 의뢰했으며 현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경찰은 앞으로 현장에서 회수한 배터리를 분해해 정밀 검사하고, 동일 기종 배터리에 대한 재현 실험도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실험 사전 준비 사항이 많아 이달 안에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경찰 관계자는 "관계자 조사를 추가로 이어가는 한편, 압수물 분석과 국과수 감정을 통해 화재 원인 규명을 다각도로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찬 수습기자 dde06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