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3년간 농수산물 절도 2만5천건·피해액 226억"

  • 전국
  • 광주/호남

윤준병 "3년간 농수산물 절도 2만5천건·피해액 226억"

검거율 절반도 안돼
무관용 처벌·유통 감시 강화 대책 필요

  • 승인 2025-10-12 16:38
  • 신문게재 2025-10-13 5면
  • 전경열 기자전경열 기자
윤준병
윤준병 국회의원
농수산물 절도는 단순한 재산 피해를 넘어 땀과 정성으로 일군 농어민들의 한 해 생계를 뿌리째 흔드는 심각한 범죄로 최근 3년간 농수산물 절도만 2만5000건·피해액은 226억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되풀이되는 농수산물 절도에도 불구하고 절도에 따른 검거율은 절반조차 되지 않아 농어촌 방범 확대, 절도범에 대한 무관용 원칙, 절도당한 농수산물이 유통되지 못하도록 유통 경로에 대한 감시와 추적 강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민주당·정읍·고창)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간 발생한 농수산물 절도 발생건수(피해품 기준)는 2022년 8130건, 2023년 9059건, 2024년 8586건 등 총 2만 5775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년간 5084건(피해액 35억4812만원)으로 전체 19.7%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서울 3531건, 경남 2192건, 경북 1899건, 전남 1680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발생한 전체 피해액은 2022년 86억4311만원, 2023년 72억2606만원, 2024년 67억3023만원 등 총 225억994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농수산물 절도에 따라 발생한 피해액은 경기도에 이어 강원 33억1059만원, 경북 30억9639만원, 경남 30억3359만원, 광주 17억616만원 순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렇게 반복되는 농수산물 절도범죄에도 불구하고 검거율은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연도별로 발생한 농수산물 절도범죄에 대한 검거율은 2022년 52%(8130건 중 4226건 검거)에서 2023년 46.8%(9059건 중 4238건), 2024년 46.5%(8586건 중 3994건)으로 나타나 3년 평균 검거율은 절반을 밑도는 48.3%에 불과했다.

지역별 검거율을 보면, 전북은 지난 3년간 발생한 농수산물 절도범죄 1178건 중 714건을 검거해 60.6%의 검거율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다음으로 대구 56.4%(1198건 중 676건), 광주·강원 각각 55.6%(광주 801건 중 445건, 강원 1179건 중 656건), 인천 54.6%(854건 중 466건) 순으로 높았다.

반면, 검거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으로 지난 3년간 발생한 농수산물 절도 132건 중 검거건수는 45건에 그치면서 검거율은 34.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충남 39.5%(1458건 중 576건), 울산 40.3%(586건 중 236건), 경기 44.4%(5084건 중 2,258건) 순으로 낮았다.

윤준병 의원은 "농어민들의 피와 땀으로 키운 농수산물 절도는 농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헤칠 뿐만 아니라 농어민들의 상실감을 키우는 심각한 범죄행위"라며 "특히 농수산물의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수확철이나 농번기 등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절도범죄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사전예방·사후처벌'을 강화하는 대책들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농수산물 절도 근절을 위한 특별방범 강화, 절도범에 대한 무관용 원칙 적용, 절도 당한 농수산물 유통 감시 및 추적 강화 등의 방안 등을 통해 선제적인 대응시스템을 작동해야 한다"며 "농수산물 절도 없는 안전한 농촌을 만들기 위해 정부와 경찰, 지자체 등이 함께 경각심을 높여 농가 피해 최소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읍·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관저종합사회복지관, "이웃과 함께하는 2025년 한가위 사랑 나눔"
  2. [인터뷰] 중도일보 실버라이프 명예기자 노수빈 시인
  3. '2026지방선거 시민의회추진단' 발대식
  4. '농인 도슨트'를 아시나요?
  5. 대덕구지역자활센터와 최충규 대덕구청장 간담회
  1.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2.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3.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4.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5.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