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반포면, ‘계룡산 도자기 철화분청 홍보·체험 행사’ 호응

  • 충청
  • 공주시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 도자기 철화분청 홍보·체험 행사’ 호응

  • 승인 2025-10-12 18:43
  • 고중선 기자고중선 기자
계룡산 도자기 철화분청 사진 (1)
공주시 반포면 주민자치회가 백제문화제 기간인 10월 3일부터 12일간 '계룡산 도자기 철화분청' 체험부스를 운영해 호응을 얻었다. (반포면 제공)
공주시 반포면 주민자치회(회장 임상갑)는 제71회 백제문화제 기간인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운영한 '계룡산 도자기 철화분청' 홍보·체험 부스가 방문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5년 주민참여예산 선정사업인 '철화분청사기 정신을 빚는 행복한 공예문화'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계룡산벚꽃축제(1차)와 석장리구석기축제(2차)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린 홍보·체험 행사다.

홍보 부스에서는 '철화분청사기 강사 육성 프로그램' 수강생의 작품과 철화분청의 이해를 돕는 홍보 자료가 전시됐다. 체험행사로는 철화 그리기와 흙놀이 체험 등이 진행됐으며, 축제 기간 동안 4천 명이 넘는 방문객이 다녀가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부스 한쪽에서는 '계룡산 철화분청도자문화단지 건립' 홍보와 함께 지지 서명 운동이 전개됐다. 이는 지난 8월 열린 창립대회를 시작으로, 우리 지역에 철화분청도자문화단지를 세우자는 뜻을 본격적으로 실천하는 단계다.



임상갑 주민자치회장은 "우리 지역의 도자기 철화분청을 널리 알리는 데 주민자치위원을 비롯해 공방 강사님과 수강생들이 함께 힘써 주어 감사하고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반포면의 자랑거리인 철화분청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공주=고중선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관저종합사회복지관, "이웃과 함께하는 2025년 한가위 사랑 나눔"
  2. [인터뷰] 중도일보 실버라이프 명예기자 노수빈 시인
  3. '2026지방선거 시민의회추진단' 발대식
  4. '농인 도슨트'를 아시나요?
  5. 대덕구지역자활센터와 최충규 대덕구청장 간담회
  1.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2.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3.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4.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5.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