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성희 기자) |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불길이 시작된 5층 7-1전산실은 전소됐으며, 인접한 7·8 전산실도 분진 피해가 커 복구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의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5층 전산실이 2∼4층 시스템과 연동된 경우가 많아 5층 복구 지연이 전체 시스템 정상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까지 정상화된 시스템은 총 709개 중 248개로, 복구율은 약 35% 수준이다. 등급별로 보면 1등급 70%(40개 중 30개), 2등급 48.5%(68개 중 33개), 3등급 40.2%(261개 중 105개), 4등급 23.5%(340개 중 80개)다.
정부는 공무원 220명과 사업자 상주 인력 574명, 분진 제거 및 기술 인력 160명, 해외 전문인력 10명, 서버·스토리지 제조사 인력 30여 명, ETRI 등 국책연구기관 석·박사급 자문인력 9명을 현장 투입해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장비를 분해·세척·건조·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스템 정상화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편 경찰은 지난 10일 화재 공사업체 관계자 1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추가 입건하며 화재 원인 규명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추석 연휴 동안 국정자원 관계자 4명과 배터리 이전 사업에 참여한 민간업체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현재까지 총 26명을 조사했다. 그 결과, 기존에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된 현장 책임자 2명, 감리사 1명, 국정자원 관계자 1명 외에 공사업체 관계자 1명이 추가로 입건되며, 총 5명이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된 상태다.
현재까지 수사 결과, 화재는 지난 9월 25일 오후 8시 16분께 5층 7-1전산실에서 리튬이온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주 전원은 오후 7시 9분께 차단됐으나, 부속전원(랙 차단기)은 내려지지 않았다는 관계자 진술도 확보했다.
또한 국정자원을 포함해 배터리 이전 사업에 참여한 민간업체 3곳을 압수수색하고 확보한 로그 기록을 분석한 결과,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배터리의 충전율이 약 8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을 의뢰한 배터리 6개와 현장에서 수거한 전동드릴, 벨트형 공구 등 장비 감식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앞으로 동일 모델 배터리를 활용한 재현 실험과 추가 관계자 조사를 병행하며 화재 원인과 과실 책임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이승찬 수습기자 dde06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