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효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부산시는 14일 브리핑을 통해 4년간 총 918억 원의 예산 규모로 이들 세대를 지원하는 방안을 밝혔다. 이로써 정책 사각지대로 여겨지던 중장년층에 대한 종합 지원을 통해 이빨 빠진 생애 주기별 지원을 완성하게 됐다.
이번 종합계획은 2023년 부산시의회 김태효 의원이 발의해 제정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가 근거이다. 2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시정 전 분야에 걸친 종합 계획이 수립됐다.
이번 계획은 일자리, 역량 개발·교육, 주거 안정·금융, 문화·여가, 출산·양육, 노후 준비·건강의 6대 분야에 32개 지원 사업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끼인세대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경우 간접비를 지원하는 '4050 채용 촉진 지원 사업'과 '경력 단절 여성 구직 활동 지원금', '끼인세대 이사 비용 지원 사업'과 같은 재정 지원이 포함됐다.
또한 '바람 솔솔 놀이터 조성', '출산·양육 포털 통합 및 개선' 등의 인프라 구축, '끼인세대 인생 제2막 컨설팅 지원'과 같은 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 시정 전 분야에 걸친 사업들이 망라됐다.
특히 '40+ 산모 행복 패키지 지원 사업'과 같은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개발·반영됐다.
부산의 끼인세대는 전체 인구의 28%, 약 91만 명(2025년 8월 기준)으로 연령별 비중이 가장 크며, 취업자 수도 약 70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42%를 차지해 지역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이라는 이중 부담을 지고 있음에도, 공공 정책의 관심이 청년층과 노년층에 집중되는 동안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왔다.
김태효 의원은 "지난 2년간의 의정 활동이 이렇게 결실을 맺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종합 계획 수립으로 그동안 소외됐던 끼인세대들이 자신들도 누군가로부터 배려받고 지원받을 수 있다는 위안을 얻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이들의 역량을 보전하고 강화하는 것이 인구 소멸 위기 도시 부산을 살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앞으로 지원 사업들이 계획대로 잘 시행되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사업 종료 후 꼼꼼한 성과 분석을 통해 끼인세대들이 필요로 하는 행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반영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제1차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