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도청 |
제주도와 교육청이 공동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에 교육으로 대응하는 첫 혁신의 장으로, 교육부가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총 132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하며 안정적 추진 기반이 마련됐다.
평가는 △지자체·교육청 협력 거버넌스 구축 △특별교부금 집행관리 △지자체의 지역 교육 혁신 의지 △자체 성과관리 체계 △우수사례 확산 등 5개 주요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제주교육발전특구는 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협력 기반과 사업 추진의 모범사례로 꼽혔다.
제주교육발전특구는 전국 유일의 도 전역 단위 특구로, 2024년 2월 교육부의 시범지역 지정 이후 1년 만에 학교를 변화시키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가시적 성과를 보여줬다.
제주형 자율학교를 중심으로 학교별 특색 있는 교육과정이 자리잡기 시작했고, 전국 유일의 글로벌 역량학교는 외국어 친화적 환경을 조성해 소규모 학교 학생 수 증가 등 실질적 성과를 창출했다. 또한 기업과 협력하는 협약형 특성화고와 자율형 공립고 2.0이 운영되면서 지역산업·지역기관과 학교 교육의 연계가 강화됐다.
돌봄과 안전 분야의 혁신도 주목받고 있다. 주말 통합돌봄센터 '꿈낭'은 전국 늘봄학교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등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마을 키움터'는 마을 중심의 돌봄 공동체 모델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학교안전경찰관제 운영을 통해 학교폭력 예방과 안전망 구축의 실질적 효과를 거뒀고, 이 사례는 지난 3월 교육발전특구 성과보고회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되며 전국에서 주목을 받았다.
제주도와 교육청은 사업 성과뿐만 아니라 제도적 기반 강화에도 주력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 해소, 지역 인재 육성, 학교 안전망 강화 등 제주형 혁신 모델의 신뢰성을 입증했다.
A등급 달성으로 추가 확보될 10억 원의 사업비는 특구사업의 질적 향상과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 마련에 전략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다.
오영훈 지사는 "교육이 지역을 살리는 원동력이라는 것을 입증했다"며 "도정의 정책 역량을 교육발전특구에 집중해 청년이 머무는 제주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광수 교육감도 "이번 A등급은 제주교육이 지자체와 함께 협력해 만든 결실"이라며 "지역협력 기반의 교육혁신을 더욱 발전시켜 미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