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형제 3남 3녀와 사촌들은 신나게 놀다가 배가 출출할 때쯤이면 셋째 작은어머님께서 어찌 아시고 동치밋국과 야채, 오징어 부침 등을 쟁반에 수북이 담아다 주셨다. 차츰 세월이 흘러 우리 형제는 물론 사촌들도 결혼하여 각자 작은 가족들이 형성되다 보니 아버지가 말씀하셨다. 어린아이들 데리고 다니기 고생되니까 명절 당일 아침 차례 때만 왔다 가라고.
긴 연휴 내내 빈방에서 혼자 있어서일까. 그 시절이 정겹고 그립다. 지금은 아버지 형제 6남매 중 작은아버지 한 분만 계시고 모두 영면에 드셨다. 사촌, 외사촌들이 대부분 대전에 살고 있어도 서로들 바쁘니까 전화로 가끔 안부만 전할 뿐이다. 아니, 가족 행사 외엔 안부 전화조차도 잊곤 한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는 하지만 문득 어딘가 한군데 구멍이 뚫린 듯 허전한 건 왜일까.
가족(家族)은 누구를 지칭하는 것일까. '가족'은 다음 백과에 보면 혈연, 인연, 입양으로 연결된 일정 범위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을 가리키는 가족학 용어로서, 친족 집단을 말한다. 그렇다면 가정(家庭)은 어떻게 형성되는 걸까. 한 가족이 함께 살아가며 생활하는 사회의 가장 작은 혈연 공동체라고 한다. (다음 백과)
이번 추석 명절 연휴는 길지만, 나는 여느 해처럼 아무 일도 계획하지 않았다. 2016년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는 서울에 사는 오빠네 집에서 명절을 지내지만, 나는 대전에 있다. 매사 엄격한 아버지와는 달리 다행히 오빠는 내 편이 되어주었다. 침묵으로. 오빠, 고마워!
사실 가족이란 항시 마음속에 함께 있는 것 같다. 꼭 만나지 않더라도 언제나 마음 속에 있으면서 대화도 나누고 만나니까 말이다. 어머니가 노환으로 4년 정도 노인병원에 입원해 계실 때 나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문병을 갔다. 어머니는 강직한 아버지와는 달리 겁이 많으시고 사람을 무척 좋아하셨다. 그러니 친인척은 물론이고 이웃을 각별히 챙기며 친하게 지내셨다.
하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외로움을 견디지 못하신 것 같다. 노인 우울증이 온 것이다. 나는 어머니와 같이 살기는 했지만 항시 늦게 귀가해서 그런 사정을 전혀 몰랐다. 그런데 아버지가 계실 때부터 가사를 도와주시던 분이 계셨는데, 어머니가 자꾸 외롭다고 하신다며 걱정스럽게 말씀하셨다. 나는 그런 경험이 없었기에 별로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차츰 식사를 못하셔서 하는 수 없이 노인병원에 입원하셨다.
나는 하루도 빠짐없이 문병을 갔다. 3인실 병동이었는데 내가 올 때쯤이면 문을 바라보고 계시는지 문을 열면 어머니의 눈이 문 앞에 있다. 병원이 산 아래 위치해있어서 저녁나절이면 병실 창문으로 석양이 붉게 물들었다. 그 아름다운 정경이 아이러니하게도 어머니를 더욱 외롭게 하는 것 같았다. 나는 하루도 빠짐없이 그 시간대 문병을 갔다.
어머니가 영면에 드신 지도 어느새 10년이 되어간다. 나는 홀로 아직 살고 있다. 트별히 사는 의미도 모른 채 살고 있다. 실은 우리 6남매 중 첫째인 언니가 무척 그립고 궁금하다. 언니는 가족이 휴가 갈 때마다 언제나 나를 동행했다. 나는 허드렛일도 못 해서 정말 쓸모가 전혀 없는데도 나를 데리고 다녔다.
그 당시 어린 조카들은 지금은 결혼해서 외국에 살고 있다. 그런데도 조카들은 외조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마다 한국에 다녀갔다. 언니가 다리가 많이 아프다고 들었는데 아픈 언니를 생각하면 억장이 무너진다. 형부가 옆에 계셔서 안심은 되지만.
내가 어릴 적 언니는 어머니를 도와서 집안일도 잘했다. 저녁 설거지도 도맡아 했다. 그런데 설거지할 때마다 솥단지는 꼭 나를 시켰다. 언니랑 나이 차이가 커선지 나는 두말 못 하고 시키는 대로 솥단지를 씻었다. 그런데 언니는 굉장히 세심해서 내가 씻은 솥단지를 이리저리 둘러보고 조금만 덜 씻었어도 다시 씻으라고 불렀다.
그 당시는 정말 미웠던 언니였는데, 그 언니가 보고 싶다. 언니 카톡 프로필에 여대생인 손녀 사진이 있는 것 보니까 안심이 된다. 누군가를 그리워한다는 것은 아직 열정이 있는 것이니까 말이다. 카톡에 문자를 넣었다. "언니, 내가 좀 시간적인 여유가 생길 때까지 씩씩하게 사는 거야!" 오늘은 나도 문득 부모님과 함께 살던 옛 가족이 그립다.
민순혜/수필가
![]() |
민순혜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