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대 여성연구소 시민강좌 홍보물./부산대 제공 |
강좌는 11월 3일부터 24일까지 매주 월요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부산여성사회교육원에서 열린다. 이 강좌는 기후위기 시대의 생태·환경 문제를 여성주의 시각에서 조명한다.
유엔여성기구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1.8배 높은 식량위기에 처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가 지금처럼 탄소를 배출하면 2050년까지 2억 3600만 명의 여성이 식량 위기에 처한다. 이에 유엔여성기구는 젠더 불평등을 고려한 '기후정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산대는 이와 관련해 철학, 역사학, 교육학, 심리학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한다. 한국 사회에서 기후위기가 여성에게 미치는 불평등한 영향과 지역사회에서의 여성주의·생태주의 실천 방안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강좌는 자연의 죽음, 생태학, 비거니즘, 동물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실천의 필요성을 논한다.
주요 강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강(3일)은 애나 칭의 '세계 끝의 버섯'을 통해 공존과 회복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2강(10일)은 캐롤린 머천트의 '자연의 죽음'을 소개하며 여성과 자연의 관계, 근대 과학이 초래한 생태 파괴의 역사를 조명한다.
3강(17일)은 그레타 가드의 '비판적 에코페미니즘'을 바탕으로 돌봄·소통·교차성을 아우르는 새로운 여성주의 생태 담론을 모색한다.
4강(24일)은 캐럴 애덤스의 '육식의 정치'로 가부장제와 육식 문화의 연결을 비판하고 페미니즘과 채식주의의 연대를 고찰한다.
이 강좌는 시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참여를 원하는 누구나 11월 2일까지 온라인으로 사전 신청하면 된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