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압과 타의, 자의 여부를 떠나 로맨스 스캠, 리딩방, 보이스피싱, 노쇼 사기 범행 등 각종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캄보디아 스캠(사기)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1000명 남짓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캄보디아 스캠단지의 온라인 사기 사건에 연루된 의혹 전반, 윗선을 포함한 총책 등 해외 공범과 국내 연계조직까지 검거에 주력해야 하는 대규모 수사다.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정보 공유와 유사 사건의 재발 방지용 '교과서'로 활용해야 한다.
정부가 외교부 제2차관을 대표로 하는 합동대응팀을 캄보디아로 급파해 사태 해결을 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이르게 한 책임은 가볍지 않다. 2022년 1건이던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가 지난해 220건으로 급증한 사실에 주목했어야 한다. 이번 사건도 대학생이 현지에서 고문을 당해 숨진 채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압송된 인원 외에 범죄 연루 국민이 더 있는지는 더 살펴볼 부분이다. 일부 가해자와 피해자의 성격이 혼재한 부분까지 수사 대상이다.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 중 매년 2000~3000명씩 귀국하지 않는다는 자료도 20일 공개됐다. 전부 다 범죄 혐의점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추적 관리가 필요하다. 취업난에 지친 청년들의 약한 고리를 노린 '순수한 피해자'는 줄어드는 양상이다. 하지만 모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철저히 수사해 온라인 사기 범죄 근절의 분기점으로 삼을 일이다. 송환된 64명 가운데 45명(69%)을 수사하면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 충남경찰의 역할이 막중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