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청사. 사진제공은 대전시 |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한 국정과제에 따라 연말까지 수도권 공공기관 157곳을 상대로 전수조사를 한 뒤 내년 공론화 등을 거쳐 2차 기관 이전 원칙 등을 담은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이다. 용지 확보 등 사전 절차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2027년부터 기관 이전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것.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선정한 공공기관 유치 논리 개발을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한편 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부, 해당 기관 등을 상대로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대전시도 이전 기관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주 환경 제공과 맞춤형 행정 지원 체계를 강화해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을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다.
앞서 정부는 2005년 수립한 1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에 따라 2012년부터 153개 기관을 전국 10곳의 혁신도시 등지로 이전한 바 있다. 대전시는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과 기존 정부대전청사 등을 이유로 1차 공공기관 이전 대상지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역차별을 주장하며 혁신도시 지정을 요구해 2020년에 대전역세권 일대와 연축지구를 혁신도시로 지정받았다.
이후 공공기관 이전을 전제로 도시개발 계획을 세우고 추진 중이지만, 아직까지 공공기관 이전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전국에서 유치전에 나서고 있는 만큼 대전시는 치밀한 전략을 세워 우위를 점할 필요가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0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 추진 가능성에 대비한 선제적 유치 전략과 조직적 대응 체계를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 시장은 2026년 이후 공공기관 추가 이전 가능성을 '현실적 기회'로 간주하며 이사관(2급)급 전담 TF팀 구성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해 우리는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과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및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 등으로 준비해 왔다"며 "이건 굉장히 중요한 국가적 사안으로 전담 컨트롤타워인 TF를 통해 유치 전략을 집중 설계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전 기획 자료와 부지 확보, 유치 타당성 자료 등의 재점검과 정부 정책 방향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 자체 플랜 완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면서 "어느 시점에 하든 결국 준비된 도시가 선택을 받는다"며 "우리는 그동안 그 준비를 해왔고, 이전 공공기관이 확정되면 신속히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대비한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과 메가충청스퀘어를 합쳐 약 6만㎡에 1500~2000명 인원이 입주할 수 있고, 주변에 우수한 교통시설과 정주여건을 갖추고 있어 이전 대상 기관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대덕구 연축지구에 공공기관 이전 공간을 확보해 넓은 업무공간이 필수적인 대형 공공기관 이전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