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일단, 정보화 사회에 진입한 후, SNS 알고리즘과 미디어 분극화가 결정적 요인입니다. 유튜브, 페이스북 등은 사용자가 '좋아요'를 누른 정보와 유사한 콘텐츠만 추천하기 때문에 각 진영은 '자기 확신의 방' 안에 갇히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폭스 뉴스와 CNN, 한국에서도 보수적인 언론과 진보적인 언론 등 매체의 이념 편향이 이용자의 인식을 분리하고 강화합니다. 여기에 정치인들은 이러한 '적대적 정치 구도'를 이용해, 결집 효과를 노립니다. 상대 진영을 악마화하면 중도층을 잃더라도 핵심 지지층이 더욱 결속되기 때문에 타협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합리적 타협이라도 배신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협력의 공간은 협소할 수밖에 없지요.
그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 고용 불안, 젠더 갈등 등에서 비롯된 정체성 또는 생존의 위기감 때문에 '우리와 그들'의 구조로 고착되어 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세대·지역·젠더 갈등이 정치적 이념과 결합하여 더 증폭되고 있지요.
이렇게 우리가 자기 진영의 말만 믿는 이유에 대한 관련 이론들이 많이 있습니다. 먼저 '확증편향' 이론인데, 인간은 자신의 신념을 강화하는 정보만 수용하고 반대되는 증거는 회피하거나 왜곡하려는 인지적 경향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인지부조화' 이론이 있습니다. 자신의 신념과 모순되는 정보를 접할 때 심리적 불쾌감이 생기므로 사람들은 그 정보를 무시하거나 합리화합니다. 오히려 상대 진영이 옳은 말을 하더라도 틀린 이유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심리가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집단 동일시' 이론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을 긍정적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으며 타 집단을 폄하함으로써 자존심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양극단의 주장을 완화할 방법은 없을까요? 결국 교육, 언론, 종교 그리고 제도적 조정이 필요합니다.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말처럼 "진리를 이해하려면 반대 의견도 들어야 한다"라는 원리를 내면화하기 위해서, '겸손'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그리고 언론과 교육이 극단적 이슈 대신에 공동 가치 예컨대 공정, 안전,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사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인 노력도 필요합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논쟁적인 부분의 정책을 결정할 때는 시민 참여형 '공론화 위원회'를 만들어 그것을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좀 생소한 숙의 민주주의를 점진적으로 제도화할 필요도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알고리즘의 편향 구조를 이해한다면 자기 진영의 정보도 비판적으로 탐색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나 시민 교육에서 '정보 다이어트'를 가르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지요. 그리고 이미 우리 정치권에서도 많이 논의되었지만, 아직 미흡한 수준에 있는 승자 독식형 선거제를 개선하는 것이지요. 현 제도는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비례 대표제의 확대·강화 등을 통하여 다당제가 정착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오늘날의 이념 대립은 단순한 의견 차이가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정체성의 충돌이기 때문에 이성적 설득만으로는 부족하고, 심리적 겸손과 제도 변화 그리고 미디어 환경의 개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