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조성 첫 회의./부산시 제공 |
시는 지난 24일 시청에서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학생 중심의 안전 통학로를 조성하려면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보행자와 차량의 동선 분리가 중요하다고 공감했다.
이를 위해 민관이 협력해 문제점을 해결할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에 시는 경찰청, 교육청을 비롯해 학부모, 시민단체, 교통·교육전문가 등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학교 통학로 사고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계획을 논의한 뒤, 프랑스 파리의 사례와 같은 '차 없는 길' 등 3가지 사업유형을 통해 안심 통학로를 조성한다.
시는 사업유형을 차 없는 길, 보행자 전용 보도, 보행자 안심 도로로 나누고, 구·군으로부터 신청을 받아 사업 대상지를 발굴할 예정이다. 특히, 경사지, 이면도로 등 사고 위험이 크거나 학생·학부모의 요청이 있는 지역에 대해 우선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유형 중 '차 없는 길'이나 '보행자 전용 보도'는 주변 일방통행 길 지정이나 도로 다이어트 등에 관해 인근 주민과 상가에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이에 협의체는 학생 수요자 중심으로 고민해 시민들의 협조와 동의를 구할 계획이다.
또한, 협의체는 사업 추진을 위한 합동 점검 및 평가, 결과 보완까지 연간 2회 정례 회의와 수시 실무협의회를 통해 안전한 학교 가는 길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안전한 통학로 조성은 미래세대를 위한 최우선 과제"라며 "경찰청과 교육청, 시민과 함께하는 협력 체계를 통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15분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