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부산시는 28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지역기업 사이버보안 유관기관 협의체'를 공식 출범하고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체에는 시를 비롯해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경찰청 등 10개 기관이 참여한다. 지역 대표 기업들도 참석해 민·관 협력 기반 구축에 힘을 보탠다.
협의체는 최근 중소기업을 노린 해킹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심각한 위기 요인으로 인식하고 관련 기관 간 긴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산 지역 해킹 신고 기업의 88%가 중소기업이며, 신고 건수도 2022년 45건에서 2025년 83건으로 급증해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협의체는 기관 간 정보 공유, 신속 대응 시스템 등 맞춤형 사이버보안 지원체계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시는 협의체를 통해 각 기관이 보유한 정보·전문성을 공유하고 사고 예방부터 복구, 재발 방지까지 종합적 대응을 추진하는 지역기업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협의체 출범과 함께 전국 최초로 '헬프 데스크(Help Desk)' 운영 및 24시간 보안관제 등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단계별 보안 지원 계획도 발표했다.
1단계에서는 피해 신고와 상담을 위한 '헬프 데스크' 운영과 맞춤형 상담(컨설팅)을 제공한다. 2단계에서는 현장 및 온라인 정보보호 교육과 사이버 모의훈련을 실시한다.
3단계에서는 보안 전담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4시간 보안관제 지원과 보안시스템 구축 지원을 추진한다.
지원 규모는 2025년 70개 기업(9억 원)에서 2026년에는 350개 기업(27억 원)으로 대폭 늘어날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한 번의 보안 사고가 기업에 치명적인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우리시는 기관 간 유기적 협조를 통해 사고 예방부터 대응, 회복까지 전 단계에 걸친 실질적 공조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