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승인 2020-10-21 10:31
  • 신문게재 2020-10-2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1021_093634437
찬바람이 분다. 숲속 양지바른 오솔길 쑥부쟁이가 이별을 고하려고 한다. 자기 전에 잠깐 보일러를 튼다. 유난히 추위를 타는 나는 인고의 겨울을 맞아야 한다. 온기가 몹시 그리운 어느날, 옷깃을 여미고 길을 나섰다. 마지막 한줌 햇살인 양 얼굴을 들고 맘껏 쬐었다. 회사에서 좀 멀리까지 걸어갔다. 식당은 손님이 다 빠져나간 뒤여서 한산했다. 어쩌다 식당에 가면 코로나19 때문에 일부러 손님이 없을 때 들어간다. 주 메뉴가 콩나물밥인 듯 한데 콩나물국밥을 시켰다. 이맘 때면 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깨나 한다. 그래서 따뜻한 국물을 찾게 된다. 뚝배기에 담긴 콩나물국이 화산 용암 끓듯 부글거리며 뽀얀 김을 뿜어냈다. 뜨거운 국물이 식도를 타고 내려가자 온 몸이 따뜻해지면서 나른했다. 계란이 익기 전까진 국물을 살살 떠먹어야 한다. 계란이 풀어지면 국물이 탁해지기 때문이다. 북어와 청양고추가 들어간 국물은 담백하고 시원했다.

콩나물국밥은 전라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전주 콩나물국밥이 유명한 이유다. 값도 싸고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은 요리도 쉽다. 고춧가루 풀고 질 좋은 새우젓으로 간한 국에 밥을 말아 후루룩 마시면 속이 확 풀린다. 애주가들의 아침 해장으로도 좋다. 요즘은 시장에서, 마트에서 콩나물을 사다 먹지만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먹던 시절이 있었다. 콩 추수가 끝나고 겨우내 방 윗목엔 으레 콩나물 시루가 자리를 차지했다. 고무다라 위에 나무받침대를 걸치고 콩나물시루를 놓는다. 보자기에 덮인 콩은 식구들이 오며가며 물을 주면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간다. 싹이 삐죽이 나온 콩은 갓 태어난 강아지들처럼 앙증맞고 신기했다. 그 귀여운 모양과는 다르게 어릴 적엔 콩으로 만든 음식은 무조건 싫어했다. 콩 특유의 비린내가 도깨비만큼이나 무서웠다. 나이를 먹으면서 입맛이 순해진 지금은 밥할 때 콩을 꼭 넣는다.

1991년 12월 생애 첫 직장에 입사했다. 기대와 설렘으로 편집국에 들어섰지만 업무는 고됐다. 국어교육을 전공했다는 이유로 만만하게 덤볐는데 교열이라는 것이 생명을 단축시키는 업이었다. 취재기자가 원고지에 쓴 기사는 암호 해독하는 수준이었다. 한자는 또 왜 그렇게 많은 지. 나와 동기들은 호랑이같은 교열국장님에게 불려가 혼나는 게 하루 일과였다. 점심 때 잔뜩 주눅 든 채 파김치가 되어 선배들 뒤를 줄레줄레 따라간 곳이 회사 앞 용두동 시장 골목이었다. 거긴 맛있는 밥집이 많아 항상 손님들로 북적였다. 그 중 콩나물국밥은 최고였다.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는 토렴식 국밥은 지금 생각해도 '찐'이었다. 탱글탱글한 밥알들이 입안에서 살아 움직였다. 감칠맛 나는 뜨거운 국물과 함께 콧물을 훌쩍이며 한 뚝배기 비우고 나면 얄미운 국장님도 부처님 가운데 토막으로 보였다.

그런데 어느 날 못볼 걸 보고야 말았다. 여자 선배들과 밥을 먹다가 거짓말 조금 보태서 토끼만한 쥐를 발견했다. 잿빛 털의 꺼벙한 쥐가 까만 눈을 반짝이며 두리번거리다 구석에 난 구멍으로 쏙 들어가는 게 아닌가. 우리는 비명도 못 지르고 나와 버렸다. 워낙 허름한 시장 골목이라서 쥐가 없을 리 만무했다. 하여간 그 후로 그 식당엔 얼씬도 안했다. 밥맛이 싹 달아났지만 식당은 오랫동안 성업했다는 얘기를 바람결에 듣곤 했다. 그 놈의 쥐가 하필 그때 나올 게 뭐람! 의사들은 나트륨이 몸에 안 좋다며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만 건져 먹으라고 조언한다. 오래 전 아는 후배가 젓가락으로 밥알을 세며 그렇게 먹는 걸 보고 하마터면 수저를 빼앗을 뻔 했다. 거실 벽에 써 붙인 건 아니지만 나의 가훈은 '께적께적 먹는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자'였기 때문이다. 쌀쌀해진 날씨, 뜨끈하고 칼칼한 콩나물국밥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논산 탑정호, 500실 규모 콘도미니엄 현실화 '청신호'
  2. [총선리포트] 양승조·강승규, 선거유세 첫날 '예산역전시장' 격돌한다
  3. 내년 폐쇄 들어가는데…충남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들은 어디로?
  4. 한 총리, '의료 현장' 수습 총력… 충남대병원과 간담회
  5. KAIST 물리학과 채동주 씨 "걱정 없이 과학기술 연구할 수 있는 세상, 가장 쉽고 빠른 방법 투표"
  1. 에너지연 신동지구에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 준공
  2. [중도일보 독자권익위원회] 4·10 총선 지역밀착형 기사 발굴 호평… 웹 접근 편의성 강화 필요성 지적도
  3. [대전 다문화]대전시가족센터서 ‘다문화 어린이 학습지원 사업 설명회’
  4. 美 프레스비테리안 대학 넬슨교수 한남대 총장 예방
  5. [대전 다문화]대덕구 여성단체협의회, ‘전통 장 담그기’ 개최

헤드라인 뉴스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대전유성호텔이 이달 말 운영을 마치고 오랜 휴면기에 돌입한다. 1966년 지금의 자리에 문을 연 유성호텔은 식도락가에게는 고급 뷔페식당으로, 지금의 중년에게는 가수 조용필이 무대에 오르던 클럽으로 그리고 온천수 야외풀장에서 놀며 멀리 계룡산을 바라보던 동심을 기억하는 이도 있다. 유성호텔의 영업종료를 계기로 유성온천에 대한 재발견과 보존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성온천의 역사를 어디에서 발원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살펴봤다. <편집자 주> ▲온천지구 고유성 사라진 유성 대전 유성 온천지구는 고밀도 도시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지..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장 등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신고 재산은 13억 4822만원으로 조사됐다. 대전시는 2024년도 정기 재산 공개 대상자 97명에 대한 재산 변동 내역을 28일 관보 및 공보에 공개했다. 이 중 정부 공개 대상자는 29명, 대전시 공개 대상자는 68명이다.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62명, 감소한 공직자는 35명으로 분석됐다. 재산 총액 기준 재산 공개 대상자의 71.1%(69명)가 10억 원 미만의 재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재산변동 사항을 보면 재산증가액 5000만 원 미만이 31.9%(31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한화이글스가 시즌 초반부터 승승장구하면서 29일 예정된 대전 홈 개막전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돌아온 괴물' 류현진이 안방에서 팬들에게 화끈한 선물을 선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화는 올 시즌 첫 개막전에서 LG트윈스에 패배하며 아쉬움을 남겼지만, 27일까지 3경기 연속 연승가도를 달리며 분위기를 완전히 뒤집어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탄탄해진 선발진이다.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선발부터 흔들리며 이기던 경기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한화이지만, 올해는 확실히 달라졌다는 것을 경기력으로 입증하고 있다. 펠릭스 페냐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 ‘우중 선거운동’ ‘우중 선거운동’

  •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