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백헌 선생 회고전-별을 담은 서재' 홍보포스터 |
대전문학관은 올해 첫 번째 기획 전시로 '송백헌 선생 회고전-별을 담은 서재'를 오는 9일부터 8월 22일까지 문학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선보인다.
'송백헌 선생 회고전-별을 담은 서재'는 대전의 원로 문인 고 송백헌 선생을 회고하는 전시로 송백헌 선생의 생애와 문학 활동, 기증·기탁 자료들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꾸몄다.
송백헌 선생은 1975년 '현대문학'을 통해 문학평론계에 등단해 문학 활동을 펼쳐 왔다. 대전문학관 건립 시기부터 지난해까지 자문위원과 수증 위원으로 활동했다. 송백헌 선생은 대전문학관에 가장 많은 자료를 기증·기탁한 인물로 총 7000여 점에 달한다.
이번 전시는 송백헌 선생의 기증·기탁 업적을 기리며, 기증 문화에 대해 시민들이 관심 가질 수 있도록 기획했다. 송백헌 선생의 자료 가운데 희귀본을 위주로 재조명해 각 자료가 지닌 문학사적 의미에 주목하도록 했다.
전시 자료로 송백헌 선생의 유년시절 사진과 유품을 비롯해 '진실과 허구'(1989)와 같은 선생의 저서 20여 권과 김억의 '오뇌의 무도'(1923), 이인직의 '혈의 누'(1955) 등 송백헌 선생의 기증·기탁자료 40여 권이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백석의 '사슴'(1936)은 우리나라에 몇 권밖에 없는 귀중한 책이다. 작가가 김영랑에게 주며 "영랑 형에게"라고 친필 서명까지 한 희귀본으로 값으로 따질 수 없을 만큼의 가치가 있다.
전시는 '인간 송백헌', '연구자 송백헌', '수집가 송백헌' 등 3개의 주제로 구성됐으며, 관람객이 직접 전시에 참여할 수 있는 '당신은 무엇을 수집하고 있나요?', '나도 미래의 기증자' 코너를 마련했다.
이은봉 대전문학관장은 "이번 전시는 송백헌 선생이 수집한 소중한 자료들을 지역의 문학 발전을 위해 기증·기탁한 마음을 되새겨 볼 기회이며, 이를 통해 기증 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기를 기대한다"라며 전시 의미를 밝혔다.
이 관장은 지난달 25일 본보 기고를 통해 송백헌 선생 회고전을 준비하면서 느낀 소외를 언급했다. 그는 "기증을 해준 분들이 너무 많아 일일이 이름을 거론하기가 힘든데, 구태여 한 분을 거론하라면 송백헌 선생을 들지 않을 수 없다"라며 "이재복, 송재영, 홍희표, 변재열 선생 등이 기증해준 자료도 소중하지만, 송백헌 선생이 기증해준 자료는 단연 뛰어나다"라고 밝혔다.
이어 "시인의 친필 사인이 들어 있는 시집 '사슴'(백석),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김억), 번안 소설집 '해왕성'(이상협), 신소설 '혈의 누'(이인직) 등이 송백헌 선생이 기증해준 대표적인 근대문학 자료"라며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
개막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내달 9일 오후 3시 관계자만 참석해 진행한다. 이후 자유 관람이 가능하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시간당 최대 35명까지만 입장할 수 있다. 내달 16일부터는 대전문화재단 유튜브(youtube.com/hidcaf) 채널을 통해 온라인 전시 감상도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대전문학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