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미식회] 피자의 생일은 마르게리타피자가 태어난 날?

  • 문화
  • 문화 일반

[수요미식회] 피자의 생일은 마르게리타피자가 태어난 날?

  • 승인 2016-08-11 10:06
  • 연선우 기자연선우 기자
▲ 사진=수요미식회
▲ 사진=수요미식회

피자에게도 생일이 있다?

지난 10일 방송된 tvN ‘수요미식회’에서는 피자 특집으로 피자의 유래와 나라별 피자 특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1988년 6월 11일은 피자 형태가 탄생한 날로, 마르게리타 피자의 탄생일이기도 하다.

‘마르게리타’ 피자는 도우위에 토마토 소스와 생 모짜렐라 치즈, 바질을 얹고 화덕에 구원낸 피자로 이탈리아 왕비였던 ‘마르게리타’의 나폴리 방문을 기념해 만든 것이다. 왕비가 피자맛에 반해 그후부터 마르게리타피자로 불려왔다. 또 치즈의 하얀색, 토마토의 빨간색, 바질의 초록색은 이태리 국기를 상징하고 있어 이태리 사람들에게는 자부심 넘치는 음식이다.

물론 이 마르게리타 피자가 시조는 아니다. 아마도 토마토를 얹은 피자의 형태는 존재했을 것이다.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은 처음으로 피자에 이름을 붙여진 것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피자의 탄생배경은 이태리 이민자들로부터 시작됐다. 이태리피자가 원조지만 미국에서 막대한 자본금으로 상업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렇다면 미국과 이탈리아 피자는 어떻게 다를까.

차이점은 소스와 토핑에 있다. 토마토 소스에서 이태리는 통 토마토를 갈아 넣지만 미국은 각종 재료를 넣고 오레가노, 올리브유 등 감칠맛과 기름진맛을 첨가한다. 두 번째는 토핑의 차이인데 미국식은 육류와 가공 모짜렐라 위주인데 반해 이태리식는 생치즈, 생토마토, 바질등을 얹어 심플하다. 셰프 송훈은 “미국의 경우 프렌차이즈 형태로 발전됐기 때문에 맛을 규격화를 위해 통조림 토마토, 가공 치즈를 주로 사용해 왔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식 피자는 미국식에 가깝지만 다양한 형태로 발전 돼 왔다. 크러스트 치즈 피자는 우리가 개발해 돈을 받고 외국에 역수출을 하고 있다. 홍신애는 “피자에 반찬문화가 그대로 반영됐다”며 “(피자를) 한상차림 느낌으로 즐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선우 기자

*수요미식회 맛집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수요미식회 피자 맛집 어디? (피자아이코닉/톰볼라/지노스뉴욕)

수요미식회 아이스크림 맛집 거기 어디?(카카오봄/몰리스팝스/펠앤콜)

수요미식회 ‘메밀국수’ 맛집 거기 어디? (미진/미나미/호무랑)

수요미식회 ‘짬뽕’맛집 거기 어디? (신성루/아서원/청담)

수요미식회 ‘여름국수’ 맛집 거기 어디? (사발/만나손칼국수/옛집국수)

수요미식회 제주 라이징 맛집, 거기 어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2.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