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미식회] 피자의 생일은 마르게리타피자가 태어난 날?

  • 문화
  • 문화 일반

[수요미식회] 피자의 생일은 마르게리타피자가 태어난 날?

  • 승인 2016-08-11 10:06
  • 연선우 기자연선우 기자
▲ 사진=수요미식회
▲ 사진=수요미식회

피자에게도 생일이 있다?

지난 10일 방송된 tvN ‘수요미식회’에서는 피자 특집으로 피자의 유래와 나라별 피자 특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1988년 6월 11일은 피자 형태가 탄생한 날로, 마르게리타 피자의 탄생일이기도 하다.

‘마르게리타’ 피자는 도우위에 토마토 소스와 생 모짜렐라 치즈, 바질을 얹고 화덕에 구원낸 피자로 이탈리아 왕비였던 ‘마르게리타’의 나폴리 방문을 기념해 만든 것이다. 왕비가 피자맛에 반해 그후부터 마르게리타피자로 불려왔다. 또 치즈의 하얀색, 토마토의 빨간색, 바질의 초록색은 이태리 국기를 상징하고 있어 이태리 사람들에게는 자부심 넘치는 음식이다.

물론 이 마르게리타 피자가 시조는 아니다. 아마도 토마토를 얹은 피자의 형태는 존재했을 것이다.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은 처음으로 피자에 이름을 붙여진 것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피자의 탄생배경은 이태리 이민자들로부터 시작됐다. 이태리피자가 원조지만 미국에서 막대한 자본금으로 상업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렇다면 미국과 이탈리아 피자는 어떻게 다를까.

차이점은 소스와 토핑에 있다. 토마토 소스에서 이태리는 통 토마토를 갈아 넣지만 미국은 각종 재료를 넣고 오레가노, 올리브유 등 감칠맛과 기름진맛을 첨가한다. 두 번째는 토핑의 차이인데 미국식은 육류와 가공 모짜렐라 위주인데 반해 이태리식는 생치즈, 생토마토, 바질등을 얹어 심플하다. 셰프 송훈은 “미국의 경우 프렌차이즈 형태로 발전됐기 때문에 맛을 규격화를 위해 통조림 토마토, 가공 치즈를 주로 사용해 왔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식 피자는 미국식에 가깝지만 다양한 형태로 발전 돼 왔다. 크러스트 치즈 피자는 우리가 개발해 돈을 받고 외국에 역수출을 하고 있다. 홍신애는 “피자에 반찬문화가 그대로 반영됐다”며 “(피자를) 한상차림 느낌으로 즐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선우 기자

*수요미식회 맛집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수요미식회 피자 맛집 어디? (피자아이코닉/톰볼라/지노스뉴욕)

수요미식회 아이스크림 맛집 거기 어디?(카카오봄/몰리스팝스/펠앤콜)

수요미식회 ‘메밀국수’ 맛집 거기 어디? (미진/미나미/호무랑)

수요미식회 ‘짬뽕’맛집 거기 어디? (신성루/아서원/청담)

수요미식회 ‘여름국수’ 맛집 거기 어디? (사발/만나손칼국수/옛집국수)

수요미식회 제주 라이징 맛집, 거기 어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2. "옛 대전부청사 지역가치 혁신가 위한 무대로" 복원 후 활용 제안
  3.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4. 민주당 천안을지역위원회, 압도적인 21대 대선 승리 위한 결의 다져
  5. '첫 대전시청사' 학술세미나 성료…근대건축 유산 보존과 활용 논의
  1. 대전문화재단, 예술지원사업 심의위원 후보 공개 모집
  2.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선출…"이재명 집권 막아야"
  4. 4월 들어 세종만 유일하게 거래량 증가… 대전·충남·충북은 감소
  5. 천안시립노인전문병원, 충남지역 첫 치매안심병원 지정

헤드라인 뉴스


한폭의 그림같은 ‘명상정원’… 온가족 산책과 물멍으로 힐링

한폭의 그림같은 ‘명상정원’… 온가족 산책과 물멍으로 힐링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지난해 대전 지역에 떨어진 벼락(낙뢰)만 1200회에 달하는 가운데, 전년보다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낙뢰가 잦아지면서 지난 5년간 전국적으로 낙뢰 사고 환자도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기상청 '2024년 낙뢰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지역에서 관측된 연간 낙뢰 횟수는 총 1234회다. 앞서 2021년 382회, 2022년 121회, 2023년 270회 낙뢰가 관측된 것과 비교했을 때 급증했다. 1㎢당 낙뢰횟수는 2.29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같은 해 충남에서도 전년(3495회)에 약 5배..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총 싸움으로 연휴 즐기는 시민들 물총 싸움으로 연휴 즐기는 시민들

  •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