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AI 살처분 매몰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까지 단정지을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어 정확한 실태 조사 및 주민들의 불편 최소화 대책이 요구된다.
15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지난해 6월부터 1년 간 AI 살처분 매몰지 19개소 주변 100 이내 지하수 관정 29개소에 대해 지하수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이 넘는 17개소가 부적합으로 판정됐다. 이 중 매몰된 사체 부패로 암모니아가 발생, 산화하면서 변화되는 질산성질소가 검출된 곳은 13개소에 달하며, 4개소는 대장균만 검출됐다.
천안의 경우 성환 도하에서 대장균과 질산성 질소가 검출됐으며, 논산은 12개소 중 연무 마전 3곳에서 질산성 질소가 나왔다.
또 논산 부적 감곡의 경우 5곳에서 질산성 질소가 나왔으며, 이 중 2곳에선 대장균도 함께 검출됐다.
논산 부적 신교 1곳과 채운 용화 2곳 등 3곳에서도 질산성 질소가 검출됐으며, 홍성의 광천 응암에서도 질산성 질소가 나왔다.
도는 지하수 오염이 확임됨에 따라 음용수에 대해 우선 사용을 중지토록 하고, 단기적으로는 생수 등 대체 음용, 대체급수를 지원하고, 소규모 급수시설 및 지방상수도시설을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AI 살처분 매몰지 인근의 관정들이 상당수 오염되면서 주민들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오염 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상당수는 물에서 악취가 심해 양치질하는 것조차 힘들 정도라는 게 주민들의 하소연이다. 주민들은 이에 따라 물탱크와 살수차 등을 통해 겨우 물을 공급받아 생활을 하고 있지만 많은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AI로 살처분 매몰된 오리와 닭들이 부패하면서 오염물질이 흘러나와 그런 것 아니냐”는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이는 매몰된 사체의 경우 부패되면 암모니아가 발생하고, 점차 산화되면서 질산성 질소로 변화된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도 관계자는 “동물 사체 매몰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판단할 때는 질산성 질소와 염분, 염소이온 등 3개 지표가 일반적을 사용된다”며 “이들 지표가 동반상승하는 경우 매몰에 의한 영향으로 볼 수 있으나 아직까지 이런 현상은 발견되지 않은 만큼 매몰 사체에 따른 지하수 오염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최두선 기자 cds08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