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수도권 일극 체제를 깨려면 막대한 사업비가 드는 비수도권 사업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광역교통 총사업비 80.4%가 수도권에 편중된 문제 등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사업 수에서는 수도권이 74개일 때 비수도권은 48개였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국회의원(대전 중구)이 공개한 '광역교통 시행계획 사업 현황'에 따르면 국토와 자원 활용의 심각한 왜곡이 여기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이 같은 기회격차부터 해소해야 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에서 집중투자사업대상 범위를 지방으로 확대한 건 늦었지만 잘한 결정이다. 갈등 조정 및 인허가 기간 단축 등의 장점을 그동안은 수도권 내 4대 권역에만 적용했다. 비수도권 광역교통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비롯한 지원에 과감해야 할 것이다.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이 기능적으로 연계된 광역적 공간 완성을 위해서다. 국토 불균형 완화 및 지역소멸 대응 목적의 필수 투자에 속도를 내야 한다.
지역의 광역교통 관련 사업은 공사비 증액과 예비타당성 조사·재조사 등 다층적인 난관에 직면해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활동 이력이 있는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나 대광위원장을 지낸 신임 강희업 국토부 2차관이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비수도권 출신 인사들로서 국토교통 정책 밑그림을 재정립할 수 있길 기대한다. 충청권 광역철도, CTX 등 핵심 교통망은 재정적 뒷받침으로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 광역교통 사업 예산의 수도권 집중은 불평등을 공간적으로 고착시킬 뿐이다. '5극 3특' 과제의 원만한 실현까지 가로막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