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제보]대전지법 광역등기소 면적 30%가 직원 테니스장? ... '황제 테니스장' 논란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독자제보]대전지법 광역등기소 면적 30%가 직원 테니스장? ... '황제 테니스장' 논란

대전지법 115억 3600만원 투입, 원신흥동에 등기소 구축
"설계안 20∼30% 직원용 테니스장으로 계획" 주장
법원 관계자 "설계 중이라 확정 아냐...개방은 추후에 결정"

  • 승인 2019-10-14 16:40
  • 신문게재 2019-10-15 5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대전지방법원이 도안신도시에 신축 예정인 '대전지방법원 광역등기소' 청사부지의 상당수 면적을 직원용 테니스장으로 계획됐다는 주장이 인근 부동산업계를 중심으로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등기소가 들어서는 지역은 3.3㎡당 800만 원 이상의 공시지가가 형성돼 있고 실제 3.3㎡당 1000~2000만 원 사이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혈세로 비싼 땅을 사서 공무원만 이용하는 테니스장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시선이 곱지 않다.



KakaoTalk_20191010_145150309
'대전지법 광역등기소' 가설계안. 표시된 부분은 조성 예정인 테니스장.
대전지법은 유성구 원신흥동 578-4번지에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광역등기소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광역등기소 구축은 대전지역에 분산된 등기소를 통합해 시민에게 편리한 등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된다.

용역·공사비를 포함해 모두 115억 3600만 원을 들어가는 광역등기소는 전체 5746㎡ 부지에 청사와 주차장, 체육 공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준공은 오는 2022년 상반기다.



이를 위해 대전지법은 지난 5월 건축설계 공모 시행공고를 통해 설계사를 선정, 7월부터 시추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추 조사 과정에서 알려진 설계도 안<사진>을 놓고 말들이 많다.

설계도면에는 전체 사업 부지 중 상당수 부지가 가까운 직원 테니스장 등을 포함한 체육시설 부지로 계획됐다. 설계도면만 보면 체육 공간은 청사 바닥면적의 절반 정도로 큰 면적이다.

건축업계 관계자는 “설계도대로면 체육 공간이 20%는 넘는 것 같다”라며 “요즘에는 공공청사를 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체육관이나 도서관, 개방주차장 등 다양한 시설을 한 공간에 모으는 이른바, '생활 SOC 복합화'가 추세인데, 공공부지를 혼자만 쓰겠다는 건 다소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광역등기소 예정지의 공시지가는 3.3m당 800만 원 정도다. 실거래가로 따지면 평균 1500만 원 정도 거래될 것이라는 게 부동산업계의 얘기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정확한 시세는 감정평가를 받아봐야 하겠지만, 준주거지역 기준 주변 시세를 따지면 평당 최소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 사이에 거래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계획대로면 '황제' 테니스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지법 관계자는 "아직 설계를 진행 중인 단계라 확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661㎡(200평) 정도의 공간을 다목적 체육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시민 개방에 대해서는 보안 문제가 있어 지금 단계에서 결정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4.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5.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