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한국 영화 100년을 기억하며(6)

  • 문화
  • 영화/비디오

[김선생의 시네레터] 한국 영화 100년을 기억하며(6)

- <영자의 전성시대>(1975)

  • 승인 2019-10-31 17:24
  • 신문게재 2019-11-01 1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movie_image (1)
사진=네이버 영화 스틸 이미지
가장 흔한 것은 가장 대표적인 것이기도 합니다. 영자라는 이름도 그렇습니다. 1970년대 가난한 시골을 떠나 서울로 돈 벌러 온 여성들의 대표 격입니다. 영화는 식모살이, 봉제공장 보조, 버스 안내양, 술집 종업원, 매춘부에 이르는 영자의 추락과 고통을 그려냅니다. 조선작의 원작 소설(1973)과 같은 이름의 이 영화는 전성시대라는 표현을 통해 1970년대 그런 여성들이 아주 많았음을 폭로합니다.

영화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근대화가 공평하게 진행되지 않았음을 발견합니다. 서양식 근대화는 서울과 도시를 중심으로 먼저 진행됐습니다. 그 과정에서 지방과 시골은 소외됐습니다. 또한 아들로 대변되는 남성 위주의 근대식 교육 수혜와 사회 진출 이면에 딸들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영화 속 영자 역시 그러합니다. 직업은 계속 바뀌지만 서울살이의 이유는 동일합니다. 돈을 벌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돈 벌어서 시골의 가난한 어머니, 어린 동생들을 도와야 합니다. 특히 남동생은 학교에 보내야 한다고 합니다. 영자가 보낸 편지를 읽는 시골 식구들의 모습이 내내 계속되는 서울의 풍경 속에서 흑백 화면으로 제시됩니다. 영자는 절박한 소망에도 돈을 벌기는커녕 오히려 빚에 눌립니다. 일자리는 그녀에게 뭔가를 안기고 남겨주기보다 그녀가 소비되고, 소모되도록 합니다. 딱 한 번 시골로 돈을 보내는 것은 안내양으로 일하다 버스에서 떨어지면서 팔을 잃은 대가입니다. 팔 하나가 가족에게 돌아간 셈입니다.

영자가 자살하고 마는 원작과 달리 영화는 그녀가 다리에 장애가 있는 남성과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사는 모습으로 끝이 납니다. 유신시대 영화는 엄격한 검열을 거쳤습니다. 아마도 시나리오 단계에서 이미 변경되었을 것입니다. 자살처럼 충격적인 장면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감독의 분신과도 같은 남성 창수가 추락해 가는 그녀를 애끓는 마음으로 돌보지만 1970년대 한국 사회는 수많은 영자들의 희생과 아픔을 위무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이 작품의 아류작들은 이른바 호스티스 영화로 불리며 여성을 상품화하기도 했습니다.



영자 역의 배우 염복순(1952 ~ )은 잊기 어려운 명연을 보여줍니다. 시골 출신 아가씨의 순박함, 점차 세속화되어가는 모습, 그리고 끝끝내 인간 본연의 가치를 지켜내는 강인함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비통함 모두를 온전히 그려냅니다.

김선생의 시네레터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2.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3. 태안 해루질 중 실종된 여성 숨진채 발견…천안 미용실서 화재
  4. 전 세계 셰프들이 선보인 '한식' 경연...최종 우승자는
  5. 대전교도소, 사회복지시설 방문해 사회온정 나눠
  1. 대전 대덕구서 면허 없이 훔친 오토바이 몰던 고등학생 3명 붙잡혀
  2. 문화유산회복재단, 교실에서 또는 환수박물관에서 '실감교육 확대'
  3. EU, 철강관세 50% 인상…韓, 철강 수출 위기감 고조
  4. [프리즘] 겉보기 사회, 배터리화재에, 속도 탄다
  5. '온세종학교' 디지털 시대 맞춤형 교육 혁신 선도

헤드라인 뉴스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도시 기본 인프라조차 없는 '세종시'...제2차 공공기관 이전 시급

방문객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그 흔한 집객 시설 자체조차 없는 세종시. '역외 소비와 공실률 최상위 도시', '자영업자의 무덤', '핵노잼 도시'란 수식어는 이제 등호(=)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수는 4년째 39만 벽에 갇히고 있고, 2030년 '신도시 50만, 읍면 30만' 목표는 10년 이상 뒤로 미뤄진 지 오래다. 대전과 청주, 공주 등의 주요 도시들과 같은 인프라를 단시일 내 구축하기란 불가능한 현실이자 희망고문에 가깝다. 단적인 예로 2021년 대전 신세계 백화점, 2024년 청주 커넥트 더 현대 오픈으로 세종시의 첫 백..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전통시장의 변화는 무죄’…시장의 역사와 발전

  •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민족 대이동 시작…안전한 귀성·귀경길을 위한 체크포인트

  •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