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작황 호조로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마늘이 국내시장의 수급 안정 차원에서 미국과 대만 등으로 본격 수출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에 따르면, 국산마늘은 중국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매우 낮아 수출이 힘든 품목이었으나, 최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값싼 중국산 마늘의 미국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한국산 마늘 수출 길이 열렸다.
지난해부터 미국뿐만 아니라 대만으로도 마늘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올해 5월 말 기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는 국산 깐마늘 수출은 전년 8천 달러 대비 440만 달러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피마늘이 주로 수출되는 대만으로도 5월 말 기준 전년 1600달러 대비 55만 달러로 늘었다.
aT는 이번 마늘 수출확대를 위해 마늘수출협의회를 구성, 올말까지 모든 회원사들에게 기존 물류비의 2배인 14%의 물류비를 지원하고 수출 최저가격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했다.
마늘 수출확대를 위한 홍보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수출국인 미국을 비롯해 수출확대 가능성이 있는 틈새시장을 중심으로 유통업체 판촉전, 현지 유명 쉐프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늘레시피 영상제작 등 다양한 마케팅도 펼칠 방침이다.
신현곤 aT 식품수출이사는 "aT는 마늘의 수급 안정을 위해 지난 4월 말부터 '마늘 수출지원단 TF'를 선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지난해 과잉생산된 국산 양파를 16개국으로 5만 톤 수출한 노하우를 살려 올해는 마늘 수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농공(農工) 간의 격차완화를 위해 1967년 농어촌개발공사로 발족했다. 1986년 농수산물유통공사로 확대개편한 이후 도매시장육성, 유통교육 및 정보 등 유통조성사업을 강화하고 수출진흥사업과 농수산식품소비촉진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농어민의 소득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12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글로벌 농수산식품 산업육성 전문 공기업'으로 새로운 비전을 수립, 우리 농업의 성장동력이 될 농수산식품산업 지원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등 차별화·전문화된 사업구조와 기능으로 개편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