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2학기 수업방식 고심 거듭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학가, 2학기 수업방식 고심 거듭

충남대 비상대책위서 2학기 재택수업 원칙으로 결정
대면 수업 확대 등으로 수업의 질 개선
"타 대학들도 빠르게 결정해야 학생 피해 최소화"

  • 승인 2020-07-08 16:26
  • 수정 2021-05-05 16:00
  • 신문게재 2020-07-09 5면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온라인 수업222

대학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2학기 수업 방식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코로나19'의 가을 대유행이 예고되면서 2학기에도 원격 수업 방식이 주를 이룰 것이라는 관측이지만 등록금 환불 논란을 촉발한 원인이 원격 수업으로 인한 수업의 질 저하인 탓에 대면 수업 확대와 서버 증설 등 인프라와 강의질 제고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8일 대전 대학가에 따르면 충남대는 코로나19 대응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2학기도 재택수업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1학기와 달리 강의 원칙으로 교수가 직접 녹화한 동영상 콘텐츠나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강의 등만 허용키로 했다.

 

실험·실습 등 강의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하던 대면 수업도 과목을 확대해 수업의 질 저하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1학기 당시 수차례 서버를 구축한 데 이어 강의계획서 등을 참고해 필요 시 서버도 증설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남대를 제외한 KAIST·한남대·배재대·목원대·우송대·건양대 등은 2학기 강의 방식과 관련해서는 내부적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대전대는 대면·비대면 강의와 관련해 다음 주쯤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속출하면서 지역 감염이 심각해진 탓에 지역 대학들은 사실상 2학기도 비대면 강의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강의 방식 결정을 놓고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요구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교육계 안팎으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를 대비해 방학 기간을 활용해 서버 안정화 등을 꾀하는 등 온라인 강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학생들은 지난 1학기 당시 단순한 수업 문제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숙비나 방세를 생돈으로 날리는 등 여러 계획에서 차질이 빚어졌다는 점에서도 불만이 컸던 만큼 수업 방식을 최대한 빠르게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건양대 관계자는 "사실상 전면 대면 수업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보고 있는데 어느 정도까지 허용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며 "비대면 강의 방침을 결정짓기 전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개편을 통해 서버 안정화를 꾀하고 화상회의 프로그램인 줌(zoom) 등 교수 연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밀양시 홍보대사, 활동 저조 논란
  2. 대전에서 날아오른 한화 이글스…19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
  3. [2025 국감] "출연연 이직 대책 마련 시급… 연봉보단 정년 문제"
  4. [2025 국감] IITP 매점 특혜? 과기연전 노조 "최수진 의원 허위사실, 규탄"
  5. 7-1로 PO 주도권 챙긴 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할까
  1. 충남도-나라현, 교류·협력 강화한다… 공동선언
  2. 한화 이글스의 가을야구는 오늘도 '만원 관중'
  3. [2025 국감] 대전경찰 전세사기·관계성 범죄대응 집중…"교재폭력 대처 메뉴얼 부재"지적
  4. 대전사랑메세나, 대신증권 박귀현 이사와 함께한 '주식 기초 세미나' 및 기부 나눔
  5. 배움의 즐거움, 꽃길 위에서 피어나다

헤드라인 뉴스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폭력 등으로 현행범 체포되자 경찰관을 폭행하고 인치된 후 대소변을 던져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중국 국적 A(46)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2025년 8월 25일 동남구 신부동에서 112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게 "때려도 돼요?"라고 말하며 발등을 밟고 복부를 수회 가격하는 등 정당한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그는 현행범으로 체포돼 동남경찰서 형사과 인치실에서 소란을 피우던 중 경찰관을 향해 신발을 던지거나 소파 위에서 대변을 본 뒤..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경찰서(서장 송해영)는 최근 성착취 목적 대화죄 미수범 처벌규정 신설에 따라 아동·청소년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 달 간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경찰관이 아동으로 위장해 피의자에게 접근·대화 시 '아동 성착취 결과' 발생 가능성이 없어 처벌하지 못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미수범 처벌이 가능해 현장에서 위장 수사를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아울러 온라인상 행위에 제한되었던 처벌 범위가 오프라인으로 확대돼 직접 만나 성착취 목적으로 대화하는 오..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억대의 '짝퉁 명품'을 판매해 상표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A(39)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B(42)씨에게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들은 2023년 위조상품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아미(AMI) 등 위조상품 총 933개를 판매하면서 1억1754만원(정품가액 합계 32억170만원) 상당을 판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류봉근 부장판사는 "판시 범행은 정당한 상표권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시장경제질서를 교란하는 범죄로 그 죄책이 가볍지 않다"며 "피고인이 상표권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