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내버스요금 20일부터 1600원 적용, 전국 최고 수준 '비난'

  • 전국
  • 천안시

천안시내버스요금 20일부터 1600원 적용, 전국 최고 수준 '비난'

  • 승인 2020-07-09 11:22
  • 수정 2021-05-03 18:19
  • 김경동 기자김경동 기자
오는 20일부터 천안시 시내버스요금이 일제히 200원 인상 되자 시민과 학생들은 전국에서 최고 비싼 시내버스요금이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충남도는 지난달 소비자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시내버스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도는 지난 1월 버스요금 인상을 논의하면서 공공요금의 사회적 안정성 확보와 주민요금 저항 최소화를 위해 100원 인상을 검토했다.

반면, 운수업계는 코로나19사태로 인한 수익 저하와 주 52시간 시행에 따른 운전자 추가채용, 운전직 근로자의 임금인상을 이유로 450원 인상을 주장해 왔다.



결국, 충남도와 운수업계는 200원 인상의 절충안에 합의했으며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7년만의 시내버스요금 인상이다.

이에 따라 천안시내버스요금은 일반 1400원에서 1600원으로 청소년 요금은 1120원에서 1320원, 어린이 700원에서 900원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경기·충북·경남 시내버스 이용요금인 1500원보다 높아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 아니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년 만의 시내버스요금 인상을 받아들이는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천안시내버스의 고질적인 불친절과 노선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업체의 어려움을 이유로 요금인상을 결정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사정이 이렇자 시는 인상된 요금에 대한 시민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카드결제 시 할인율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요금의 경우 기존 카드결제 시 할인은 50원이었지만 요금인상 후 100원 할인을 결정했다.

아울러 시는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고 대중교통 이용빈도가 높은 청소년에 대한 할인율도 대폭 상향 조정하는 등 다각도로 청소년 할인율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에서 천안으로 통학하는 대학생 A씨는 "통학을 하면서 교통비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데 서비스는 그 값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요금 인상에 따른 서비스 질 향상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시관계자는 "버스요금 인상은 충남도가 결정한 사안으로 불가피하게 이뤄지게 됐다"며 "7년만의 인상이지만 시민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인지하고 있으며 시민부담 최소화와 서비스 질 향상, 노선 개선을 통해 시내버스가 시민의 발로 거듭 태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천안=김경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이종수 미술관 건립 드라이브 건다
  2. [맛있는 여행] 73-나비축제로 더 알려진 함평의 '생고기비빔밥'
  3. 한의학연 원장 선임 1년째 지연… 노조, 인사개입 의혹 제기도
  4. 서류전달 서비스 업무? 보이스피싱 수거책 잇단 무죄…"현금전달 범죄 가능성 적극 알려야"
  5. ‘이제 어엿한 성인’
  1. 대전 서구, 2년 연속 공약 이행 평가 '최우수(SA) 등급'
  2.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
  3. 대전시, 건축 3개기관과 ISAIA 2026 성공 개최 협약
  4. 도박에 뒤따르는 법률 문제는? 대전충남치유센터 전문가 강의 개최
  5. 대전가정법원, 청소년들과 10박11일 250㎞ 도보순례 떠난다

헤드라인 뉴스


국민 10명 중 6명 `물가 안정` 최우선 민생과제로 꼽아

국민 10명 중 6명 '물가 안정' 최우선 민생과제로 꼽아

국민 10명 중 6명은 최우선 민생 과제로 물가 안정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최우선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9%가 '물가 안정'을 꼽은 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 순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도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20대 이하 57.2%, 30대 56.3%, 40대 63.5%, 50대 64.9%, 60대 이상 60.7%를 기록했다. 물..

올 1분기 영끌 이어지며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 빚 역대 최대치
올 1분기 영끌 이어지며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 빚 역대 최대치

올해 1분기(1~3월)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가계 빚(부채)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다만, 신용대출이 5조 원 가까이 줄어든 영향으로 가계 빚 증가 폭은 전 분기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말(1925조 9000억 원)보다 2조 8000억 원 많다. 이는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 대전에 문 연다…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개소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 대전에 문 연다…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개소

국내 최고층 목조건축물인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가 20일 대전 서구에 둥지를 틀었다. 산림청과 산림복지진흥원은 이날 진흥원 신청사와 교육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장종태 의원(서구갑) 등이 참석해 목조건축의 시공 방식과 내화 및 내진 설계 등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경청한 뒤 사무 공간으로 쓰이는 본관동과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는 교육동, 그리고 문화공간인 숲속도서관 등 주요 시설을 둘러보며 건축 전반을 살펴봤다.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는 공공건축 부문의 탄소중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

  • ‘이제 어엿한 성인’ ‘이제 어엿한 성인’

  •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모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