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세상에 머리 나쁜 큰 도둑은 없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세상에 머리 나쁜 큰 도둑은 없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승인 2020-08-17 12:23
  • 신문게재 2020-08-18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향배교수님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우리가 소설로 접한 임꺽정(林巨正)은 의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옛 문헌에 의하면 임꺽정은 명종 때 백성들에게 많은 피해를 끼친 강도에 불과하다. 박동량(朴東亮)의 기재잡기(寄齋雜記), 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 등에 임꺽정 이야기가 기록돼 있다. 양주 백정 출신인 도적 임꺽정은 성격이 교활하고 행동도 날쌔고 용맹했다. 임꺽정은 따르는 도적들과 함께 민가를 불사르고 말과 소를 닥치는 대로 약탈했다.

조정에서는 뒤늦게 알고 임꺽정을 체포하기 위해 관군을 파견했다. 그러나 경기와 황해도 일대의 아전과 백성들은 임꺽정과 비밀리 결탁했다. 관청에서 그를 체포하려는 계획을 세우면 그들이 먼저 알아서 거리낌 없이 활개치고 다녔다. 조정에서는 선전관을 보내 정탐했지만 도적들의 속임수에 속아서 선전관만 죽임을 당했다.



조정은 황해도 지역 군사를 동원하여 임꺽정을 체포하도록 했다. 아전과 백성들이 이미 도적들과 내통하여 밤에 공격하므로 군사들은 꼼짝없이 패퇴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황해도 일대는 도적 패거리가 더욱 할거해 길도 마음대로 다닐 수 없는 곳이 됐다. 조정에서는 남치근을 토포사로 삼아 재령군에 진을 치고 그들을 토벌하게 했다. 임꺽정은 날쌔고 건장한 자 몇 명만 데리고 있고 나머지는 무리를 거느리고 구월산에 들어가서 험악한 산에 웅거해 대항했다. 남치근은 군마를 집결해 구월산을 철통같이 포위하고 공격했다. 결국 도적들이 항복했으나 날쌔고 건장한 대여섯 명은 끝까지 대항했다. 남치근은 서임에게 유인하게 하고 그들이 오자마자 모두 베어 죽였다. 임꺽정은 어느 민가로 숨어들어 갔지만 관군에게 포위됐다. 임꺽정은 관군 차림으로 위장하고 혼란을 틈타 진중을 빠져 나가려 시도했으나 투항한 서림에게 발각됐다. 결국 군사들에게 체포돼 얼마 후 죽었다.

임꺽정 1명을 체포하기 위해 조정은 3년 동안 몇 개 도(道)의 군사를 총 동원했다. 많은 물적 인적 자원을 들여 겨우 도둑 하나를 잡았지만 그 사이에 죽은 양민은 이루 헤아릴 수가 없었다고 한다.



지금 대한민국은 부동산 투기라는 강도를 잡기 위해 온갖 법령을 총동원하는 것이 이 모양새가 아닐까. 부동산 투기는 꼭 잡아야 할 강도이지만 그것을 잡기 위해 벌이는 일이 자칫 엄한 국민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을까 걱정이다. 국민은 재산이 생명이다. 국민 개개인이 재산을 증식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가장 손쉽게 재산을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이 부동산 투자다. 대다수 국민이 부동산 투자에 뛰어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문제는 단기간에 이익을 보려고 가격을 조장하고 독점화하는 투기세력이다. 이들은 이미 정부의 정책을 꿰뚫어 보고 그 위에서 놀고 있다. 그들을 잡으려면 단기적으로 쪽집게식 정밀타격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기술적으로 대단한 정밀함이 필요하며 조준을 잘못했을 경우 엉뚱한 사람이 피해를 본다. 제일 좋은 방법은 임꺽정 같은 강도와 그에 협조하는 백성이 아예 나오지 않도록 근본적으로 대처하는 일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국토의 효율화를 위한 강력한 인구분산 정책, 창업과 투자의 활성화, 일반 서민들이 정말로 근검절약하여 마련한 자금을 전망이 좋고 안전한 곳에 투자하여 재산을 증식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보장하는 안전투자정보제공시스템 등이 필요하다. 아울러 국민들에게 세계시민으로서 지향해야 할 올바른 교양교육과 경제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가 많은 인력과 경비를 사용해가며 총력을 기울여 임꺽정 같은 강도를 잡았더라도 곧바로 장길산 같은 도적이 나온다. 법망은 아무리 촘촘하더라도 반드시 빠져나갈 길이 있다. 세상에 머리 나쁜 큰 도둑은 없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