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석을 가을 곡식을 거두고, 이를 감사하며 기념하는 날로 알고 있지만, 실제 추석 기간은 벼가 익어 머리를 숙여가는 기간이다. 벼를 추수하는 시기는 우리가 명절로 쇠는 추석보다 조금 더 늦게 찾아온다.
추석의 의미를 찾아본다면 한가위라는 순우리말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를 뜻하는 옛말이다.
고대 사회에선 어두운 밤이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지만, 보름달이 뜨는 날은 밤을 밝게 비춰주는 날이었기 때문에 1년의 중간인 8월의 가장 큰 달이 뜨는 날을 명절로 지켜왔다는 말이 한 가지 유래설이다.
또 다른 설로는 산소 성묘를 위한 좋은 시기이기 때문이란 말도 있는데, 여름 동안 산소에 자란 잡초를 벌초하기에 가장 시기적절한 음력 8월 15일을 추석으로 정했다는 설도 있다.
한가위라는 명칭은 신라 시대부터 전해졌는데, 왕이 왕녀 두 사람이 두 패로 가르고 7월 16일부터 날마다 뜰에 모여 길쌈을 했다고 한다. 8월 15일까지 이어진 대결로 공이 많고 적음을 살피고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사례했다고 기록돼 있기도 하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