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세종행? 금강벨트 민심 최대변수 부상

  • 정치/행정
  • 대전

중기부 세종행? 금강벨트 민심 최대변수 부상

민주 "균형발전론" VS 국힘 "여당 책임론"
메가톤급 이슈 민심출렁이나 정치권 촉각

  • 승인 2020-10-21 17:23
  • 신문게재 2020-10-22 3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2020092201001827100069971
 사진=연합뉴스 제공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세종 이전이 가시화 된 가운데 이 사안이 '포스트 국감' 금강벨트 민심 향배를 가르는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대전 당정을 장악한 더불어민주당은 균형발전론을 앞세워 중기부 사수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고 국민의힘은 여당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총공세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는 대전 세종 두 지역 간 인구증감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결돼 있고 정치적 이해관계까지 얽힌 이번 메가톤급 이슈에 민심이 어떻게 출렁일지 안테나를 곧추세우고 있다.

정치권 등에 따르면 중기부는 세종 이전 희망 의향서를 19일 행정안전부에 제출했다.



중기부는 '청'에서 '부'로 승격함에 따라 기존에 있는 곳은 사무 공간이 협소하고, 관련 부처와 원활한 협의를 위해 세종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23일께 공식 입장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정치권은 폭풍전야다. 최근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12일부터 16일까지 조사한 여론조사(자세한사항은중앙선거여론조사심임위홈피참조)결과에 따르면 충청권에서 민주당은 30.8%, 국민의힘의 경우 29.1%로 여야가 초접전인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중기부 세종이전 여부는 금강벨트 최대 도시인 대전의 민심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두 정당간 팽팽한 지지율 구도를 단박에 깨뜨릴 수 있는 파괴력을 지녔다고 해도 무방하다.

다음주께 나올 여론조사의 경우 이번 이슈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가 대전 여권 만류에도 세종행을 사실상 공식화 한다면 여당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하지만, 상황이 이렇게 될 때까지 국민의힘은 무엇을 했느냐는 여론이 고개를 들면 오히려 야당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인 박영순 의원은 "다른 중앙 부처 기관을 대전 지역으로 가져와도 모자란 상황에서 상징적인 부처 하나가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다면 지역 시민들의 우려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총리와의 면담이 예정돼있고 이후 행안부장관, 당 대표 등 균형발전에 관해 역행하는 현 상황을 직접 전달할 예정"이라며 배수진을 쳤다.

지역구에 중기부를 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박범계(서구을) 의원은 "대전시장을 포함해 대전 지역구 6명의 국회의원이 주장하는 국가균형발전은 정부 부처를 세종에 몰아넣는 것이 아니라 대전, 세종 등 충청권 전체적인 지역균형발전을 얘기한 것"이라며 "현재 중기부가 있는 정부 3청사는 3청사 답게 발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중기부는 대전에서 대표 행정중심지로서의 기능을 보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야당은 발톱을 바짝 세우며 대여공세를 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전시당 위원장은 "중기부가 이전하면 중기부와 관련된 모든 기업이 빠져 나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하고 이에 따라 시당 측에서도 중기부 항의 방문 등을 고려하고 있다"며 "혁신도시 지정으로 인한 들뜬 분위기보다는 어떤 공공기관이 올지, 어떤 기관이 와서 지역 경제를 어떻게 살릴 수 있는지 면밀하게 준비하라는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며 여당의 미온대응에 화살을 돌렸다.

김태영 시당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혁신도시 지정에 따른 시민 기대감도 중기부 세종이전으로 시민 가슴에 찬물을 끼얹었다"며 "작금의 대전시 모습을 보면 허태정 시장이 시정미래를 어떻게 이끌어 나갈지 참으로 암담하다"고 힐난했다.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