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17개 시·도 중 라돈 수치 최고…환경 유해 노출도↑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17개 시·도 중 라돈 수치 최고…환경 유해 노출도↑

市, '대전시 라돈관리계획' 최종 보고서 발표
광주, 대구, 부산에 비해 라돈 수치 두배 높아
환경단체 "앞으로 상황 더 안좋아, 대비해야"

  • 승인 2021-02-14 14:36
  • 신문게재 2021-02-15 5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2021-02-14 09;58;19
대전이 폐암의 주요 발병 원인 중 하나인 '라돈' 지수가 전국 17개 시·도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돈은 흔히 집 주변에서도 방사선을 내는 기체 물질로, 우리나라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대전시가 라돈 저감 대책 마련을 위해 최근 발표한 ‘라돈관리계획' 최종 보고서를 보면, 2018년 대전의 실내 라돈 평균은 110.1 Bq/㎥로 17개 시· 도중 가장 높았다. 광주는 58.3Bq/㎥, 대구 61.5Bq/㎥, 부산 51.4Bq/㎥로, 대전은 다른 광역시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대전의 연도별 라돈 데이터를 비교해보면, 2011∼2012년의 대전의 라돈 평균 농도는 161.9 Bq/㎥, 2013∼2014년에는 107.3 Bq/㎥로 나타났다. 이어 2015∼2016년에는 111.8 Bq/㎥, 2017∼2018년 110.1 Bq/㎥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하지만 매년 권고 기준 초과율은 10% 이상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전지역이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점으로는 건축구조, 주택 형태 등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의 단독 주택에서 라돈 수치는 매년 평균 138.4Bq/㎥로 가장 높은 라돈 농도를 보였고, 아파트에서는 87.8 Bq/㎥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라돈 농도 수준이 가장 높자, 대전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라돈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생활 속 환경 유해인자인 라돈 누출에 대비해 예방하는 관리 체계를 수립해 시민 건강을 보호하겠다는 취지에서다.

특히 라돈관리의 문제점으로는 최근 지역 내 건축 천연자재 사용 증가 추세 등으로 실내 라돈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돼 지역 시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어 다른 오염물질과는 다르게 측정조건에 따른 방출량 변동이 크고,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양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측정·관리기준도 없다.

또 기존 저감·관리대책은 토양 영향에 집중돼 공동주택의 경우 환기밖에 대책이 없어 시 차원의 구체적인 대안이 시급해 보인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에서는 대전이 유독 '라돈'에 취약한 점을 보였는데, 그동안 시가 특별히 '라돈'을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었고, 대책이나 방안도 전혀 없었다"며 "앞으로 아파트 재건축 등 상황이 더 악화할 경우를 대비해 보고서를 토대로 장기적 관점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2.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3.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1.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2.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3.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4. 한국시리즈 5차전 앞둔 한화 김경문 감독, "류현진도 던질 수도…모든 걸 준비할 것"
  5. 신보 대전스타트업지점, ㈜인세라솔루션 '퍼스트펭귄기업' 선정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