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인재로 자랄 사람 나무

  • 문화
  • 문예공론

[문예공론] 인재로 자랄 사람 나무

장주영/ 대전공업고등학교 교사

  • 승인 2021-04-06 09:4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76d5a53740e768f90a646944e7a9ff97b18d25f9
1-9반 학생들
식목일(植木日)은 1949년 나무를 많이 심고 아껴 가꾸도록 권장하기 위해 국가에서 정한 날이다. 학창 시절 학기 초에 식목일 휴일을 누려본 기성세대는 식목일을 진하게 기억하지만, 2005년에 태어난 우리 반 아이들은 코로나19로 학교를 격주마다 다닌 것을 더 기억할 듯 싶다. 이번 주 학교를 나오지 않는 우리 반 아이들은 거리 두기 정책으로 등교하지 않는 편안함은 있지만, 원격 수업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동성과 실질적 책임감이 더 높아졌다. 쉽사리 작심삼일 하는 나태함을 스스로 조절하며 잘 지낼지 걱정된다.

나는 세 아이의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하고 복귀한 터라 교직 생활에 긴 공백이 있었다. 변화된 학교와 낯선 업무 속에서 신규교사 같은 초심으로 배워나가면서 지낸다. 다행인 것은 나의 딸도 고 1인데, 우리 반 아이들도 1학년이다. 학교에서도 엄마 같은 따뜻한 마음을 앞세운 각오를 하니 다소 안심이 된다.

대전공업고등학교 드론지형정보과 1학년 9반. 토목과라는 명칭에서 드론지형정보과로 금년에 개명하였다. 6개 전공 중 한 반뿐인 유일한 학과여서 3년 동안 쭉 같은 반이다. 그래서 긴 안목으로 봤을 때, 삼년 간 얼굴을 맞댈 같은 반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학급 내 화합과 편안함이 중요하다. 부디 삼 년동안 학교폭력이나 내부 갈등이 없이 집보다 더 화목하고 행복한 반이 되기를 바래본다. 우리 아이들이 학교와 선생님을 좋아하고, 친구들과도 영원한 우정을 쌓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담임선생님이 되고 싶다. 식목일은 나무를 심는 날로 자연을 생각하는 날이다. 나는 우리 아이들을 어린 나무로 여기고, 학교를 과수원으로 생각하는 식목일 아침을 보낸다. 우리 반 아이들이 학교와 선생님을 햇볕과 양분이 가득한 언덕으로 잘 활용하기를 바란다. 그래서 모두가 귀하고 훌륭한 나무처럼 돋보이기를…….

지난 주 4월 1일. 마스크를 쓰고 격주로 지내서인지 아직 서먹한 우리 반 아이들은 만우절을 아주 얌전히 보냈다. 오히려 교사인 내가 아이들에게 추억을 주고자 골탕 먹이는 만우절 행사를 하고 싶었지만, 대신 운동장에서 봄날 콧바람을 쐬며 단체 사진을 남기는 종례를 했다. 나무마다 새순이 오르고 날씨도 참 좋다.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벌써 한 달이 지났다. 얼굴의 반은 가리고 격주 등교여서 서로를 알기 위한 시간을 갖기에 기회도 부족하였다. 잠시 마스크를 빼고 운동장 철봉에 모두 매달리는 연출을 하여 귀한 얼굴을 남기는 학급 단체 사진을 찍었다. 얘들아, 철봉을 두 손으로 꽉 잡듯이, 학교도 선생님 손도 꼬옥 잡으렴. 드론지형정보과 1-9반! 도전을 두려워 하지 않는 용기있는 마음을 가지고 우리 함께 잘 해보자. 식목일 아침, 쑥쑥 자라날 훌륭한 나무처럼 우리 반 아이들이 모두 소중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기원한다.





<우리는 신입생>

시 : 장주영



나도 처음인데

너희들도 처음이니?



새로운 이곳

우리 인생의 무대

우리를 위해 존재하는 여기



심장이 두근두근

기쁘다 설레인다

뭐든 오케이

나를 위한 축제의 날



나를 도와줄 친구

마음을 나눌 사람

이곳에 가득



표정을 열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해보는 거야

즐거운 마음으로

다 잘 될 거야

행운이 올 거야

소중한 나의 오늘



너도 처음이듯

나도 처음이다



새로운 이곳

내 인생의 무대

나를 위해 존재하는 여기



우리 함께 잘 해보자

38-장주영-교사
장주영 /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3.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4.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5. 세종시 빛축제, 시민 힘으로 다시 밝힌다
  1. 수능 앞 간절한 기도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4. 고물가에 대전권 대학 학식 가격도 인상 움직임…학생 식비부담 커질라
  5.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