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대권공식화…충청대망론 또다시 꿈틀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양승조 대권공식화…충청대망론 또다시 꿈틀

JP 이회창 안희정 등에 이어 바통
충남지사=대권주자 공식 이어가
梁도전에 도정공백 VS 도전공백

  • 승인 2021-05-12 15:33
  • 수정 2021-05-12 16:07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523338_430438_3859
양승조 충남지사가 12일 차기 대선 출마를 공식화 한 가운데 충청 대망론이 또 다시 꿈틀대고 있다.

1987년 대통령 선거 직선제 개헌 이후 충청 출신 정치인들의 대권 도전은 끊이지 않았다.

첫 번째 주자는 "충청도가 핫바지냐"는 불세출의 어록을 남긴 고(故) 김종필 전 총리다. 김 전 총리는 1987년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노태우-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등과 13 대선에서 겨뤘지만 8.06%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대쪽 총리' 별명을 가진 이회창 전 총리 역시 대선에 도전했다. 북한 황해도에서 태어났지만 부친 고향이 충남 예산으로 충청 주자로 분류됐던 그는 모두 3번을 도전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97년 15대 대선과 2002년 16대 대선에서 보수 야권인 한나라당 후보로 나왔는 데 각각 38.74%와 46.58%를 얻으며 선전했지만 청와대 주인은 되지 못했다.

2007년 17대 대선에도 이 전 총리는 무소속으로 깃발을 들었지만 15.07%의 저조한 득표에 그쳤다.

3선 충남지사 출신으로 '행정의 달인'이라는 애칭이 있는 심대평 전 지사는 2007년 17대 대선에서 충청 보수 정당인 국민중심당 후보로 나섰지만 중도에 사퇴한 바 있다.

이완구 전 총리와 정운찬 전 총리 역시 실제 출마로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충청대망론 주자로 군림하며 지역의 기대를 모은바 있다.

최근에는 안희정 전 충남지사가 최순실 국정농단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2017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경선에 도전했다.

대연정 제안 등으로 중도 진영으로의 확장을 꾀했던 안 전 지사는 한때 당시 경선 경쟁자인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을 턱밑까지 추격하는 등 선전했다. 하지만, 이른바 '선의' 발언을 기점으로 지지율이 꺾이면서 패했다.

안 전 지사 최종 득표율은 21.5%로 문 대통령(57.0%)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현재 여당 대선 지지율 1위 이재명 경기지사였다.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지사의 최종 득표율은 21.2%였다.

안 전 지사는 경선 선전을 바탕으로 2022년 대선 유력 후보로 부상하는 듯 했지만 2018년 초 미투 파문에 연루돼 사실상 정치권에서 낙마했다.

이후 한동안 여야를 막론하고 충청대망론 주자 기근 현상에 시달려 왔는데 양 지시가 이 공백기를 깨고 바통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와 함께 심대평-이완구-안희정-양승조로 이어지는 '충남지사=대권주자' 전통적인 공식도 이어가게 됐다.

양 지사 대권 도전에 대해 지역 여론은 두 쪽으로 갈리고 있다.

일각에선 충남 도정 공백이 우려된다고 힐난한다. 국민의힘 충남도당은 성명을 내고 "양 지사의 대권놀음에 도민만 멍든다"이라면서 일부 여론조사를 근거로 "충남 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양 지사가 대한민국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제일 잘 해결할 수 있다고 하니 웃을 일"이라고 쏘아부쳤다.

다른 의견도 있다. 이미 지역 광역, 기초의원과 교수, 체육인 등이 잇따라 양 지사 출마를 촉구한 바 있으며 4년 전 안희정 전 지사가 경선에서 선전한 이후 중앙무대에서 충남도의 위상이 커진 점을 들어 이번에도 '양승조 효과'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역력하다. 이같은 주장을 하는 쪽은 '도정공백'보다는 지역에서 대권 주자를 배출하지 못하는 '도전 공백'이 더 뼈아플 것이라고 분석한다.
서울=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2. 천안아산범방, 제18회 청소년 풋살대회 성료
  3. 새마을금고 천안시이사장협의회, (재)천안시복지재단에 후원
  4. 천안법원, 고객 휴대폰 몰래 판 30대 남성 '징역 1년 6월'
  5. 천안시, '보라데이' 기념행사 개최
  1. 상명대, 충남반도체마이스터고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활성화 맞손
  2. 한기대, '다담 EMBA 최고경영자과정' 40기 힘찬 스타트
  3. 천안시, 천안흥타령춤축제 앞두고 '안심 방역' 총력
  4. 나사렛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 충남지역혁신 프로젝트 채용박람회 참가
  5. [날씨]200년 빈도 폭우 쏟아진 서천…시간당 137㎜ 누적 248㎜

헤드라인 뉴스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빠르면 이번 주 국회에 제출된다. 두 시·도는 실질적인 지방정부 구현을 강조하며 통합에 속도 내고 있는 가운데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와 정부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이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시·도와 성일종 의원실은 현재 여야 의원 50명 이상을 공동 발의자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남을 통해 행정통합 추진을 위..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자동차와 조선업 분야에서 노조 파업이 잇따르면서 '노조 파업 전성시대'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연관성을 부정하며 긴급 진화에 나섰지만, 지역 경영계는 법 통과가 노조파업의 도화선이 됐다고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국내 주요 자동차·조선업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줄줄이 파업을 선언했다. 노사 갈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양상이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4일 설명회를 열고 "이번 파업은 임단협 과정에서 임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