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건축물] ②대전예술가의 집… 예술가와 시민들의 화합공간

[대전의 건축물] ②대전예술가의 집… 예술가와 시민들의 화합공간

  • 승인 2021-08-03 00:15
  • 수정 2021-09-06 13:30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컷-대전의건축물
"대전하면 떠오르는 대표적 건축물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졌을 때 시민들은 한동안 대답을 머뭇거리곤 한다. 이에 반해 아름다운 건축물이 있는 곳은 어디일까 라는 물음에 많은 사람은 현대적인 건축미가 돋보이는 서울과 수도권, 전통미가 살아있는 경주, 전주 등을 꼽는다. 대전에 아름다운 건축물이 많음에도 지역 건축물에 대한 답변을 듣기 힘들다. 그만큼 지역 건축물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건축 전문가들이 꼽은 대전의 대표 건축물부터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련된 美를 보이는 건축물까지 '대전의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온라인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10802_094030749_02
대전예술가의 집

[대전의 아름다운 건축물 얼마나 아니?] 2. 대전예술가의 집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 손꼽히는 '대전예술가의 집' 지역 예술인들이 창작물을 발표하는 지역 예술인들의 집이자, 시민과 예술인들이 만나고 소통하는 문화 공간이다. 대전예술가의 집은 예술가의 집이라는 명칭만큼 대전의 아름다운 건축물으로 손꼽힌다. 원도심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문화예술명소인 대전예술가의 집은 지역민과 예술인의 화합이 주 컨셉이다. 

 

KakaoTalk_20210802_094030749
건물 측면
▲옛 시민문화회관이 재탄생한 예술가들의 집
'대전예술가의집'은 모든 시민들과 지역 예술인들이 창작물을 발표하고 전시하며, 때로는 창작활동에 함께 동참함으로써 시민과 예술인들이 만나고 소통하는 문화의 공간이다. 30년이 넘게 대전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의 보금자리였던 옛 시민문화회관 자리에 재건립 돼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지상 5층, 지하 1층 연면적 9000여 ㎡ 규모로 다목적 공연장과 8개의 전시실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문화예술을 수용할 수 있고, 13개 문화예술단체가 상주하는 다목적 복합문화공간이다.

누리홀 문화재단 홈페이지
누리홀.[사진=대전문화재단 홈페이지 캡쳐]
▲시민들을 위한 공간
예술가의 집은 누리홀, 전시실, 회의실, 소통실, 부대시설 등으로 구성돼 있다. 누리홀은 1~2층에 위치해 있으며 전동식 수납형 객석(140석)을 갖춘 블랙박스형 공연장이다. 자유로운 무대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석을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공연을 개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층에 위치한 전시실은 8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실마다 전시의 특성과 전시 콘셉트에 맞게 공간구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각각의 독립 공간들은 동시에 8건의 소규모 전시를 개최할 수 있고, 이 공간들이 서로 이어져 있어 중급 규모 전시를 개최할 수도 있다. 전시벽면은 인체공학적인 곡면으로 설계됐다. 4층과 5층은 다목적실, 소통실, 회의실로 구성돼 시민들이 교육, 회의 등을 개최할 수 있다.



KakaoTalk_20210802_094030749_01

▲독특한 설계… 시인성 중점

대전예술가의집은 과거 대전시민회관 자리에 지어진 건물로 세계적인 건축가 쟝 미셀 빌모트(Jeng Michel Wilmotte)가 설계한 것으로 유명하다. 외관은 삼각형에 가까운 부지에 원형을 회전시켜 쌓아올린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모든 면을 유리로 구성해 시인성을 높인 것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이러한 독특한 설계로 '제17회 대전시 건축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바 있다.

지역의 한 건축사는 "모든 면을 유리로 구성해 햇빛이 그대로 스며들고 통풍 자체가 잘 안되는 구조여서 건립 당시 상당한 비판이 있었으나, 원통을 적층시킨 디자인과 유리로 시인성을 높인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이기에 대전의 아름다운 건축물이라 불릴 만 하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3.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4.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5. [월요논단] 대전 야구.축구, 흥행은 성공, 결과는 불만
  1.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관련 단체 민간자격증 소지자 16명 확인
  2. [홍석환의 3분 경영] 잘할 수 있다는 믿음
  3. [편집국에서] 안전 이별 했어?
  4. [오늘과내일] 대전 칼국수와 나가사키 짬뽕의 인문학적 교류 가능성
  5.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이재명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제9회 지방선거를 흔드는 메가톤급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탈(脫) 세종이 현실화되면 직접적 타격을 입는 충청권을 넘어 인천, 호남까지 연쇄 충격파가 우려되면서 전선확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앞으로 5년간 국정 청사진을 제시할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를 갖고 본격 가동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의 PK 대표 공약이었던 해수부 부산 이전도 조만간 구체화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에선 경제성장수석 산하에 신설되는 해양수산..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를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에선 올해 입주한 서구 용문1·2·3구역 '둔산더샵엘리프' 재건축 사업이 적용대상으로 꼽히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재건축 부담금 부과 예상 단지는 전국 58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대전에선 용문1·2·3구역이 유일하다. 재초환은 재건축으로 얻은 초과 이익이 조합원 1인당 8000만 원이 넘으면 초과 이익의 최대 절반을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이를 두고 용문1·2·3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재초환 제도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202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에서 인문계 학과와 교대 정시 합격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수학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로 인해,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인문계 학과에 대거 교차 지원하면서 발생한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종로학원 분석결과 수도권 주요 17개 대학(서울대·고려대 등 비공개)의 인문계 학과 340곳 중 정시 합격생 가운데 55.6%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나타났다. 수학..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