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탁상행정에 아이들만 피해" 용산지구 학부모들 분노 폭발

  • 사회/교육
  • 교육/시험

"교육청 탁상행정에 아이들만 피해" 용산지구 학부모들 분노 폭발

예비입주자협의회.학부모단체 등 기자회견 열어
임시교실 대책 탁상행정 불과...과밀학급 불보듯

  • 승인 2021-11-02 16:22
  • 수정 2021-11-08 08:45
  • 신문게재 2021-11-03 1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KakaoTalk_20211102_102014895
2일 대전교육청 정문 앞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용산지구 입주자협의회 관계자 등이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문제에 대한 사태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박수영기자
대전 유성구 용산지구 내 사라진 학교 부지를 놓고 입주 예정자들의 분노가 확산하고 있다.

교육청이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탁상 행정'에 불과해 애꿎은 학생들만 피해를 볼 처지가 됐다는 지적이다.

용산지구 예비입주자협의회와 전교조 대전지부, 시민사회단체, 학부모단체는 2일 오전 대전교육청 정문 앞에서 용산지구 내 초등학교 신설 예정 용지를 삭제한 것과 관련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 도시개발지역 내 초등학교 용지를 둘러싼 행정 난맥상을 강력 비판 했다.

이 문제는 교육청의 잘못된 수요 예측에서 시작됐다.



교육청은 개발지구 내 초등학교 신설이 불필요하고 용산초 증축을 통해 학생 수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잘못된 판단에 따라 지난 2019년 1월 시에 학교 용지 해제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입주예정자협의회는 "시교육청의 수요 조사는 어긋났고, 아이들을 용산초에 배치할 경우 학급당 40명이 넘는 초 과밀 학급 사태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임시 수용시설에서 기약 없이 지내라고 하는데 가장 기본권인 교육권도 조차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구, 건설사 핑계가 아니라 교육청이 기본권인 학습권을 보장해줘야 한다"며 "초과밀에 그마저도 임시교실에서 공부해야 하는 자녀들의 학습권 피해는 누가 보상하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2018년 5월 고시된 '대전대덕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 촉진 지구 지정 검토 보고' 내용을 보면, 용산지구 초기 개발계획에는 초등학교 부지가 위치해 있었지만, 2019년 10월 최종 계획에서는 학교 부지가 해제되고 유치원·공원 부지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더 큰 문제는 '과밀 학급'이다.

교육청이 급히 용산초에 임시 교실을 배치하는 방안을 내놓았지만, 학부모들은 임시방편 대책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오는 2023년 4월 입주 예정자들의 자녀들은 8차선 대로를 건너 전교생 450여 명에 불과한 용산초에 설치될 임시 교실에 배치될 예정이다. 700여 명에 달하는 입주 예정자의 자녀들이 용산초에 수용될 경우 전국 최다 과밀 학급으로 운영돼 교육 품질 저하도 우려할 수밖에 없다는 게 예비 입주자들의 설명이다.

결국 이는 명백한 교육청의 수요 예측 실패이자 '탁상 행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신정섭 전교조 대전지부장은 "교육청의 수요 예측 실패는 학급당 40명이라는 재앙을 낳았다"며 "멀쩡하게 확보돼 있던 초등학교 부지가 사라져서 피해는 고스란히 입주민과 자녀들이 떠안게 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대전교육청은 과밀학급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입주자들은 학교 설립을 원하고 있는데 학교 용지 확보는 그대로 추진할 것이다. 단순히 용지 확보만으로 학교가 설립되는 게 아니라 확보 후 중투심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그전까지 임시 교실에 배치한다는 것"이라며 "기존 용산초에 증축은 어려운 만큼 한 공간에 소방, 냉난방, 내진 등 성능을 확보한 모듈러 교실을 증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4.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5.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1. 한산한 귀경길
  2.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3.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포스트 추석' 충청 정가… 본격 지선 체제 돌입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