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랑올랑 새책] 우리는 진짜 여성을 혐오하는 것일까?

  • 문화
  • 문화/출판

[올랑올랑 새책] 우리는 진짜 여성을 혐오하는 것일까?

지역서 전문서적 나란히 출간
표류사회-한국의 여성인식사, 인공지능 기반의 국가위기관리정책발전론

  • 승인 2021-11-18 16:10
  • 수정 2021-11-19 10:09
  • 신문게재 2021-11-19 9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표류사회_앞면 표지 (1)
코로나19로 일상은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보면 지금, 이 시기보다 많은 변화가 이뤄진 때도 없었던 듯 싶다.

대면 만남이 제한되면서 온라인 쇼핑, 온라인 회의는 물론 플랫폼 기반의 각종 서비스들이 선을 보이고 있고, 참석이 당연시 여겨지던 각종 형식적 모임도 사라지고 있다.

물론 순기능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우울감과 불안 등 정신건강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아졌고, 성별, 계층을 둘러싼 혐오 문화도 커지고 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급변하는 코로나 팬데믹시대, 자신의 전공 분야를 통해 사회 문제 해법을 제시한 서적을 나란히 발간했다.

세종국책연구단지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소정의 '표류사회-한국의 여성 인식사'(이소정 지음, 아이필드펴냄, 543쪽)가 우리 사회의 여성을 보는 시각의 변천 과정을 담았다면, 행안부 공무원이기도 한 최원상은 '인공지능 기반의 국가 위기 관리 정책발전론'(최원상 지음, 충남대 출판문화원 펴냄)을 통해 급변하는 국가안보환경과 국가위기관리를 진단하고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국가위기관리를 제시하고 있다.

▲경쟁의 시대, 혐오의 문화='표류사회-한국의 여성인식사'는 저자가 워킹맘으로서 마주한 독박육아, 경력단절, '난해한' 시댁 관계 등을 통해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스템과 가치관의 변천 과정을 담고 있다.

모계중심의 사회에서 부계 중심의 사회로 바뀐 역사적 사실과 사회적 선택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역사속에서 여성과 가족문화의 기원은 물론, 가족내 여성의 지휘를 통해 여성에 대한 인식 변천사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우리 사회에서 문제로 대두된 젠더 갈등, 페미니즘에 대한 화두도 던지고 있다.

저나는 "지금의 우리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양 페미니즘과는 다른 우리 전통문화의 역사적 배경과 여성 인식의 원형을 알아야 한다"며 "역사와 배경이 다르면 문제 해결 방법도 달라지는 만큼 여성문화의 원형과 변천사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책에서 저자는 "여전히 전통이라 믿고 있는, 저 성 불평등하고 부조리한 많은 것들이 실은 변질된 모화사상과 일제식민 문화의 잔재"라며 "양성을 조화롭게 보았던 전통 정신을 고찰하면 진정한 양성평등과 여성학이 올바로 정립될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 이소정씨는 대전·세종교육청에서 국제·사회계열 전문교과를 지도하며 참미래교육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공저로 전통과 현대의 생사의례를 기업 및 단체장례에 접목한 '기업장례 의전실무'를 출간하기도 했다.
KakaoTalk_20211014_090019118

▲국가 위기도 AI로=행안부 공무원으로 재직중인 최원상의 '인공지능 기반의 국가위기관리정책발전론'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위기관리정책의 발전 방안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국가의 안보환경은 불확실하기에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특히 포괄안보의 개념이 적용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더욱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 불확실성을 최소화한다면 효율적인 국가위기관리가 가능하며, 이는 인공지능(AI)에서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기에 인공지능(AI) 기술은 산업, 사회 등 전 분야에서의 적용이 확대되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만큼, 국가이익을 위한 국가안보와 국가위기관리 패러다임의 혁신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의견이다. 올해 충남대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으며 2021년 한국정책학회 학술상 저술부문에 추천되기도 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