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대전경찰청·충남경찰청에 따르면 청별 마음동행센터의 전문상담사는 각 1명이다. 대전청은 충남대병원에, 충남청은 천안에 위치한 순천향대에 업무를 위탁해 운영 중이다.
마음동행센터는 2013년 트라우마센터라는 명칭으로 경찰관의 트라우마와 직무 스트레스 전문 치유를 위해 신설됐다. 일선 경찰이 업무와 관련해 고통을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대전은 제도 도입 해부터, 충남은 2019년에서야 각각 운영을 시작했다.
지역 일선 경찰들은 여러 현장에서 정신·신체적 위협을 받고 있다. 근무 때마다 죽은 사람을 보거나 참혹한 현장을 마주해야 하며 흉기로 위협을 받는 상황 직면하면서다. 실제로 최근 대전의 한 지구대에 근무하는 경찰은 피의자가 휘두른 흉기로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강력범죄 수사 분야에서 일하는 한 경위급 경찰 역시 매일 변사체를 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고 털어놨다. 충남 일부 지역은 강력범죄 발생률이 전국 평균 2배에 달하는 등 일선 경찰이 겪는 업무 강도와 스트레스도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같은 경찰들이 마음을 돌볼 수 있는 기회는 좀처럼 마련되지 않는다. 대전청은 지구대나 수사파트 인력을 위주로 순서를 정해 건강검진을 받듯 지정상담제를 운영하지만 이 인력이 정기적으로 상담을 받는 주기는 2.5년에서 3년 꼴이다.
충남청은 희망자에 한해 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돼 있는 상황이다. 권역이 넓은 만큼 순천향대뿐 아니라 시·군별 민간상담소 30곳과 협약을 체결해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주기적인 상담을 권고하거나 권장하는 제도는 없다.
대전의 한 한 경위급 경찰은 "몇 년 전 상담을 받으라고 해서 받았던 기억이 있다"며 "마음 상태를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는데 이후엔 어떤 설명이 없다. 꾸준히 지속적으로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고 특히 들어온 지 얼마 안 된 경찰들을 잘 챙겨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전청과 충남청 마음동행센터 담당 경찰은 센터 이용 활성을 위해선 전문상담 인력 충원과 함께 상담에 대한 경찰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달 말 대전청은 상담사 1명이 충원될 예정이다.
대전청 관계자는 "처음엔 상담받길 귀찮아하고 정신 상담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데 상담 후엔 마음도 편안해지고 만족도가 크다"며 "첫 상담 이후 연장하는 사례도 있다. 일단 많이 접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충남청 관계자는 "전문상담 인력이 늘어나야 한다는 걸 당연히 인식하고 있다"며 "다만 이보다 심리 치료를 받는 데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고 전했다. 임효인·내포=조훈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