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용태 교수 |
이 사업은 총 5년간 약 102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청정 수소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김용태 교수가 사업단장을 맡고 화학과 박문정 교수,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가 공동 연구원으로 참여한다.
서울대, KAIST 등 국내 주요 대학들과 함께 한국유미코아촉매, 테크윈, 오라이언폴리머, 아크로랩스 등 기업들이 기술 상용화에 협력한다.
해외 연구진으로는 수전해 촉매 분야 세계적 석학인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드워드 사전트 교수와 멤브레인 내구성 연구의 권위자인 렌셀러 폴리네크닉대 배철성 교수, 시스템 모델링 전문가인 텍사스A&M대 조셉 권 교수 등이 참여한다.
사업단은 음이온 교환막 시스템 핵심 요소인 촉매, 멤브레인, 셀 및 스택 기술 전반을 고도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니켈 기반 비귀금속 촉매를 활용한 고활성·고내구성 구현 △신규 이오노머 및 혼성 멤브레인을 통한 장기 내구성 확보 △3D 프린팅 기반 셀 제조, 플라즈마 처리, 경제성 평가 등을 통해 산업 적용이 가능한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용태 교수는 "수소 기술이 반도체와 이차전지에 이어 국가의 핵심 전략 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