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래 여성의 생식기는 각종 분비되는 점액들로 인해 촉촉하게 젖어있다. 이 분비물은 생리 주기에 따라 양이 달라지는데, 생리가 끝난 후에는 그 양이 적다가 배란기 전·후로 맑고 끈적이는 액이 분비되고 배란기 이후는 다시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정상적인 분비액은 생식기 밖으로는 흘러나오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맑은 색을 띠고 냄새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냉대하는 배란이 완전히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분비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냉대하는 생리적인 상태를 벗어나 양이 증가하여 외음부뿐만 아니라, 속옷을 적시고 색깔도 맑지 않으며 짙은 황색이나 녹색, 적색, 심지어는 갈색을 띠기도 한다.
이런 경우 여성성기, 즉 자궁이나 기타 난소, 난관 등에 기질적인 병변 때문에 유발되기도 하며, 가벼운 자궁경관이나 자궁내막의 염증에서부터 심한 경우는 악성종양 즉 융모상피종, 암 등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추운 날씨 짧은 스커트 자제해야
이런 냉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선 몸에 꼭 끼는 바지나 거들을 삼가야 하고, 항상 외음부를 청결하게 해야 하며, 과로를 피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성관계 전·후로 청결을 유지해야 하며, 성병에 걸릴 위험이 있는 상대와는 피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는 것도 요령이다.
대변을 본 뒤 앞에서 뒤로 닦아주는 것은 기본이다. 일회용 생리대나 팬티라이너가 의심된다면, 귀찮더라도 면생리대로 바꾸는 것이 좋다.
질 세정시 비누보다는 식초를 몇 방울 섞은 물로 세정하거나 전용 세정제를 사용하는 센스를 갖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하루 1번 이상 너무 뒷물을 자주 하면 냉대하가 오히려 악화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냉대하가 심할 경우에는 부부관계를 금하고 찬 음식, 음료수, 주스, 과일, 돼지고기, 밀가루 음식을 삼가야 한다. 또 날씨가 추울 때에는 짧은 스커트나 과도하게 얇은 옷을 입어서 찬기운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냉대하 예방과 원활한 부부생활을 위한 방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