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 국가시범도시 조감도. 사진=행복청 제공 |
그동안 부산과 세종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시범 도시 조성을 도모했으나 여러 내외부 요인에 따라 지연 양상을 보여왔다.
행복청(청장 김형렬)은 3일 합강동(5-1생활권)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의 본격화 소식을 알려왔다.
이를 위해 2025년 하반기까지 국가 시범도시 구축의 실행 로드맵인 실시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간 사업시행자인 세종스마트시티㈜(SPC) 및 공공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력 구도를 적극 활용한다.
무엇보다 백지상태 부지의 장점을 살려 미래형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최첨단 스마트기술과 시민 행복 중심의 인프라가 융합된 세계적인 생활공간으로 조성한다.
지난 4월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행복도시 스마트계획은 앞으로 밑그림을 예상케 한다. 민간 부문이 제공하는 21개 스마트 서비스와 공공부문이 제공하는 18개 서비스 등 총 39개의 스마트서비스를 구현한다.
미래 입주자들이 누릴 일상을 미리 보면, ▲공유차 기반 자율주행과 AI 기반 스마트교통시스템 등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 ▲스마트학교와 디지털 학습 플랫폼을 연계한 교육 시스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및 고령층을 위한 헬스케어존 ▲미세먼지 저감 및 안개 예측 시스템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와 제로에너지건축(ZEB)을 활용한 친환경 주거환경 등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선보일 예정이다.
전천규 행복청 국가시범도시팀장은 "세종 국가 시범도시는 공공과 민간이 긴밀히 협력해 최첨단 서비스를 실현하는 미래형 스마트도시의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며, "혁신 모빌리티와 안전, 문화·여가,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등 시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세종 국가시범도시 내 상징광장 가상도. 사진=행복청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