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에서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회원들이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성토했다. 시는 2024년 7월 5일 자로 관리협약·개별점포 사용허가가 만료됨에 따라 중앙로지하상가 관리 주체를 대전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하고 440개 점포에 대한 경쟁 입찰에 진행했다. 해당 점포의 1년 사용료를 투찰해 최고가를 제시한 참가자가 낙찰받는 구조다. 사용허가 기간은 10년이다.
비대위는 1차 입찰 당시를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12만 5000건의 조회수는 부풀려진 조작이라고 주장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일선 상인들은 자신의 구역 입찰 조회수가 늘어날수록 높은 금액을 써내야만 한다는 부담이 커진다. 운영 중인 상가 낙찰을 받지 못하면 생계에 위협을 느낄만한 요소인데, 누군가 이 조회수를 임의로 부풀려 조바심을 느끼도록 했다는 게 비대위의 설명이다. 비대위는 예시로 영업 중인 상인 외엔 입찰 공지를 알지 못했는데도 조회수가 높았다는 점 등을 예로 들었다. 또 비선호 매장일수록 조회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데, 선호매장과의 조회수가 유사하다고도 했다. 여기에 440개 점포 중 입찰참여자가 829명인 점과 조회수에 비해 단독낙찰과 유찰점포가 56%인 점 등을 꼽았다.
상인들은 높은 낙찰로 인해 삶의 어려움에 봉착했다고 호소했다. 상인 강병두 씨는 "내가 입찰한 점포는 마감 직전까지 조회수가 150회를 넘어섰고, 조회수가 늘어날 때마다 '몇 명이나 이곳을 노리고 있는 걸까'라는 공포에 감정가보다 4배 높은 금액으로 낙찰했다"며 "매달 나가는 임대료는 숨통을 조이는 상황에서 고물가와 고금리, 경기침체 속에서 손님은 줄고 매출은 반 토막 나 하루를 벌어 하루를 연명하는 삶을 살고 있다"고 울먹였다.
정인수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원장은 "수사를 통해 경쟁 입찰을 진행한 온비드 서버가 개방돼 조회수 부풀리기 조작 의혹이 사실이 아닐 경우 모든 책임을 감수하겠다"며 "온비드에 모든 정보에 대한 기록보존을 신청한 상태"라고 했다.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대전시에 1000여 명의 시민 서명을 통한 공청회 개최 요구서를 전달했다.
참여자치시민연대는 관계자는 "해당 공청회 청구는 단순한 상가 분쟁 해결 요구를 넘어, 대전시의 시민참여 행정을 촉구하는 청구"라며 "조례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럴 때 시민들의 목소리를 공식적으로 듣기 위함이며, 이를 무시하지 않고 제대로 구현하는 것이 성숙한 지방정부의 자세"라고 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