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여행]중국의 자랑, 장가계

  • 문화
  • 여행/축제

[주말여행]중국의 자랑, 장가계

바다가 빚고 땅이 건져올린 보석

  • 승인 2015-02-26 13:50
  • 신문게재 2015-02-27 14면
  • 이성희기자이성희기자
3억 8천만년 전 망망대해였던 땅, 지각운동으로 솟아올라 절경 뽐내
하늘 찌르는 봉우리 가진 천문산·비취처럼 아름다운 보봉호 등 유명


장가계는 중국 호남성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일의 국가 삼림공원 및 여행 특정지역으로 원래는 대융시였는데 1994년에 국무원에서 대융을 장가계시로 승격시켰다.

장가계시의 총 인구는 153만명이며 20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총 인구의 69%가 토가족(土家族), 백족(白族), 묘족(苗族) 등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토가족이 93만명으로 제일 많고 다음으로 백족이 10만명, 묘족이 2만7000명 정도 이다.

전체 면적은 9563㎢로 전국의 1000분의 1을 차지한다. 장가계는 국내외에서 보기 드물게 수려한 봉우리와 동굴 외에도 인적이 드문 자연 지리 조건으로 인해 원시상태에 가까운 아열대 경치와 생물생태 환경을 지니고 있다.

약 3억 8000만년 전 이 곳은 망망대해였다. 후에 지구의 지각운동으로 해저가 육지로 솟아올라 억 만년의 침수와 자연붕괴 등의 자연적 영향으로 오늘의 깊은 협곡과 기이한 봉우리, 물 맑은 계곡의 자연 절경이 이뤄졌다. 연평균 기온은 16℃정도이며 연강수량은 1200~1600㎜정도이다.

장가계의 대표적인 장소를 소개한다.

▲천문산=천문산은 장가계 시내에서 8㎞ 떨어져 있는 해발 1518m의 산으로 사방은 모두 절벽이며 봉우리는 하늘에 닿을 듯하고 그 기세 역시 하늘을 찌른다.

천문동은 천문산의 중상부에 위치해 있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천연 종유굴로 해발 1300m, 높이 131m, 너비 57m, 깊이 60m에 이른다. 대자연이 만들어낸 천문동은 1000m 높이의 절벽위에 걸려있어 구름과 안개를 빨아들여 천상의 궁궐 같은 신비감을 만들어준다. 천문산의 정상부분은 비교적 평탄하고 완전한 원시산림을 보유하고 있다.

▲보봉호=보봉호는 댐을 쌓아 물을 막아 만든 인공호수이다.

길이는 2.5㎞이며 수심이 72m이다. 아름다운 호수와 그윽한 주위 환경이 어울려 무릉원 수경(水景) 중의 대표작으로 뽑힌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있고 바깥쪽으로는 기이한 봉우리들이 있으며 봉우리는 물을 감싸고 있어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산 속에 비취 알맹이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어필봉=세 개의 봉우리가 구름과 하늘을 가리키고 있으며 높고 낮음이 들쑥날쑥하면서도 잘 어울리는 장관을 연출하는 곳이다. 흙이 없는 돌봉우리 위에 푸른 소나무가 자라서 마치 붓을 거꾸로 꽂아 놓은 것 같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전쟁에서 진 후 천자를 향해 황제가 쓰던 붓을 던졌다고 해서 '어필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어필봉은 무릉원의 수많은 봉우리 중에서도 걸출한 대표로 뽑힌다.

▲천하제일교=1982년에야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천하제일교'는 자연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걸작품으로 실제 처음 발견 했을 당시 수나라때 만들어진 석교로 알려졌을 정도로 정교하다. 1400여년의 긴 세월 동안 여러차례의 지각 변동과 기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됐다. 절벽에 놓여있기에 다리위를 거닐다 보면 아찔한 느낌이 든다.

▲금편계곡=금편계곡은 장가계 삼림공원의 동부에 위치해 있고 금편이라는 이름은 금편암(鞭岩)을 지나서 흐른다는 데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서쪽으로는 비파계로 모여들고 동쪽으로는 삭계로 들어가는 한 줄기의 깊고 고요한 협곡이다. 뱀처럼 꼬불꼬불하게 늘어서 있는 돌길은 전체 길이가 7.5㎞로 통과하는 데에 약 2시간30분 정도가 소요된다. 길옆에 천 여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고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 있어서 공기가 상쾌하며 한적하다. 이곳에는 많은 진귀한 나무와 꽃, 풀, 살구나무, 해당화 등이 자라고 있어 관광객들에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가는길=한국에서 장가계로 가는 직항편이 없기 때문에 상해나 장사까지 비행기를 타고 가서 다시 국내선이나 기차, 배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먹거리=장가계는 물 맑고 공기 좋은 곳이라 먹거리들도 신선하고 맛있다. 또한 매운 음식이 유명한 후난성에 있어서 매콤한 중국음식을 먹을 수 있다. 관광지에서는 조금 비싸니 숙소로 돌아와 근처 식당이나 시장에서 사먹는걸 추천한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자료제공=에스투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 '복당' 주목...행정수도 완성의 또다른 퍼즐
  2.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모평부턴 점수 예측 어려워
  3. 산단공 충청지역본부, 지역안전지킴이 육성 프로그램 업무협약
  4.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5. 사이언스짐 신동식, 제36회 Mr.대전 그랑프리 우승
  1. 대전 200억원대 전세사기 피해자들 "임대인 엄벌을" 탄원
  2. 세종시 '올스타 배팅센터'...학생 야구 저변 확대 돕는다
  3. 'Disease X' 대응전략은?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심포지엄
  4. 백석대, 2024학년도 연구실적 우수교원 시상
  5. 한기대 '2025 ESG 포럼' 성료

헤드라인 뉴스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2026학년도 대입에서 '사탐런(사회탐구 과목 쏠림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수험생들의 선택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N수생이 가세하는 6월 모평 이후엔 이 현상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5월 8일 실시된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분석결과 사회탐구(사탐) 응시 인원이 전년보다 10만707명 증가한 43만 415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0.2% 증가한 수치다. 과학탐구(과탐) 응시자는 21만7723명으로, 4만 4810명 줄어들며 17.1% 감소 폭을 보였다. 5월 학평 기준 사탐 응시율은 20..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미래차 전장산업 혁신 중심지로 도약한다. 충남도는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단계 특화발전 사업계획 종합 평가'를 통과해 내년부터 5년간 국비 100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2단계 사업에는 국비와 동일한 규모의 지방비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며, 1단계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특화발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미래 모빌리티 전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고도화 전략을 집중 전개해 지역 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적인 기술 혁신..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대통령 선거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른 대선 호재를 등에 업고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셋째 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30% 올랐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5주 연속 기록했다. 세종은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매매 수요가 증가해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 집값은 4월 둘째 주 0.04%, 셋째 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