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주말]얼큰~한 골뱅이탕 국물맛도 일품

  • 문화
  • 맛있는 주말

[맛있는 주말]얼큰~한 골뱅이탕 국물맛도 일품

국내산 골뱅이만 사용 대전서 유일 양파·날치알과 함께 먹는 '삼합' 추천

  • 승인 2016-02-25 15:10
  • 신문게재 2016-02-26 9면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만년동 부자골뱅이

쫄깃하고 탱글탱글한 식감, 고단백에 열량이 낮아 호프집의 인기 메뉴로 사랑받고 있는 골뱅이. 골뱅이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통조림에 들어간 가공된 형태의 골뱅이를 떠올린다. 어패류에 속하는 골뱅이는 과거 우리나라의 해안에서도 많이 잡혔다. 1990년대 이후 어장 환경이 급변하면서 지금은 물량이 극히 적어 제한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만년동에 위치한 부자골뱅이는 대전에서 유일하게 국내산 골뱅이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이 집에서 유통되는 골뱅이는 동해안 울진이 주산지인 ''큰구슬우렁이'를 비롯해 서해안의 태안, 보령, 안면도 지역에서 잡히는 납작골뱅이와 코고동 남해산 피참소라 등 4종류다. 주로 수심 50m의 고운 모래바닥에서 서식하는데 통발을 이용해 잡거나 갯벌에서 직접 채취하고 있다.

골뱅이 요리는 보통 무침으로 많이 먹지만 이 집의 대표메뉴는 '골뱅이탕'이 메인 요리다. 껍데기를 제거하지 않은 자연산 골뱅이가 양은냄비에 한 가득 담겨 나오는데 칼칼하면서도 깊고 담백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흔하게 쓰이는 소금도 한 톨 들어가지 않는다. 골뱅이 자체에서 우러나온 염분과 청양고추씨가 '골뱅이탕'에 들어가는 유일한 첨가물이다.

얕은 모래 바닥에서 자라는 골뱅이 특성상 손님상에 올리기까지는 제법 손이 많이 간다. 자연산 골뱅이를 그대로 요리하게 되면 불순물이 많아 맑은 국물을 얻을 수 없다. 주인 최벽구 사장은 “세척하고 삶고, 내장을 제거하는 과정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고 있다”며 “바다의 향을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맑고 시원한 국물 맛을 내기 위해선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청양고추씨를 걸러내기 위해 양은 냄비에 양철 채반을 받힌 특수 용기를 사용하는 세심함도 돋보인다.

최 사장이 추천하는 골뱅이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함께 제공되는 단무지와 양파, 날치알을 소스에 찍어먹는 일명 '골뱅이 삼합'이다. 골뱅이의 쫄깃한 식감과 양파의 달콤하고 매콤한 향, 톡톡 터지는 날치알이 입안에서 어우러지는데 그냥 먹는 골뱅이와는 색다른 느낌이다. 김과 함께 쌈으로 먹어도 맛이 좋다.

골뱅이 요리의 대명사 '골뱅이무침'은 서울에서 유행하는 '을지로식'과 최 사장의 아이디어를 접목한 '부자식'이 있다. 파채와 마늘, 고춧가루로 양념한 을지로식에 최 사장이 직접 만든 소스와 오징어를 첨가한 것이 부자식이다. 매콤한 파채와 소스, 담백한 오징어가 자연스럽게 술을 부른다.

개업한지 불과 수개월이 지났지만 인터넷에선 이 집을 칭찬하는 다양한 블로그가 게시되어 있다. 개업 당시부터 주말 마다 찾는다는 한 손님은 “지방에서는 한 번도 맛본 적이 없는 요리라 반신반의 했지만 지금은 골뱅이탕 아니면 술 맛이 안날 정도로 마니아가 되었다”며 “특히 골뱅이탕의 담백하고 얼큰한 국물은 술을 부르는 마약 같은 요리”라고 칭찬했다.

최 사장은 “대전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아직은 낯선 골뱅이 요리를 연구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먹거리 문화를 창출하고 싶다”며 “손님들이 만족하는 가격에 신선한 골뱅이를 드실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메뉴는 골뱅이탕 2~3인 2만9000원. 코뱅이탕 3~4인 3만8000원. 골뱅이무침 2만5000원. 먹태 1만8000원.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2. 대전·세종·충남 호우특보 해제…일부 지역 밤까지 강한 비
  3.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4.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5.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1.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2.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3.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4. '법인카드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2차 출석…7시간 조사
  5. [건강]자가면역질환 '루푸스' 마라톤처럼 더 멀리 완주 향해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