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군수도 맞는 세상”… 공권력이 무너진 자리, 누가 공무원을 지킬 것인가

  • 전국
  • 부여군

<기자수첩>“군수도 맞는 세상”… 공권력이 무너진 자리, 누가 공무원을 지킬 것인가

  • 승인 2025-07-21 11:49
  • 수정 2025-07-21 16:24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김기태 사진
김기태 부여주재기자
7월 17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수해 현장에서 벌어진 충격적인 사건. 한 주민이 지자체의 수장인 박정현 군수를 폭행한 일은 단순한 감정의 분출이 아니다. 이는 명백히 공권력에 대한 폭력이며, 민주적 질서를 무너뜨리는 심각한 범죄다. 군수에게 주먹을 휘둘렀다면, 일선 공무원들은 더 큰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는 의미다.

자연재해가 닥쳤을 때 가장 먼저 현장에 투입되는 이들은 공무원들이다. 비를 맞고, 진흙 속을 걷고, 주민의 안전을 위해 움직이는 이들이 이제는 물리적 위협까지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요즘 부여군청에는 MG세대 공무원들이 대거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현장에 나갈 때마다 악성 민원인들로부터 위협을 감내하고 있다고 호소한다. 한 젊은 공무원은 "사건 이후 현장 출장이 두렵다"며, "과격한 행동과 언어가 반복되면서 사기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군청 내부 게시판에는 '이번 사건은 반드시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는 의견이 줄을 잇고 있다. 일각에서는 "군수가 선출직이라 고발을 못 할 것"이라는 반론도 나오지만, 대다수는 "이번만큼은 법적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박정현 군수는 고발을 망설이고 있다. 폭행을 가한 사람이 부여군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해는 된다. 하지만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더욱 결단이 필요하다. 군수가 '내 일'이라며 주저하면, 앞으로 누가 공무원을 지켜줄 것인가?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에 대한 폭행이 아니다. 이는 부여군 전체 공직자 840여 명의 존엄과 안전에 대한 침해이며, 지방정부의 공권력 자체가 무너진 사건이다.

이 일을 대충 넘기면 다음엔 더 심한 일이 벌어진다. 최고 공직자에게 주먹이 날아간 세상에서, 일반 공무원들은 언제든 희생자가 될 수 있다. 무너진 공권력 위에 행정은 존재할 수 없다.

이제 박정현 군수의 선택이 남았다. 이는 자신을 위한 고발이 아니라, 후배 공직자들을 위한 '책임의 고발'이 되어야 한다. 부여군 행정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공직자들이 위축되지 않고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지금이야말로 군수가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2.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3.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4. 한솔제지 "신탄진공장 사망사고 근로자 깊은 애도"
  5.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1.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2.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3.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4. '법인카드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2차 출석…7시간 조사
  5. [건강]자가면역질환 '루푸스' 마라톤처럼 더 멀리 완주 향해

헤드라인 뉴스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屯山) 신도시가 30년을 넘기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이 마련되면서 둔산의 미래를 새롭게 그릴 기회가 열리면서다. 둔산은 과거 군부대가 다수 주둔하던 작은 군사도시에서 행정, 경제, 문화가 집약된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제는 대전의 '강남' 또는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지역의 상징적인 계획도시다. 하지만 둔산 신도시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와 기존 도시 계획의 한계를 마주한 게 현실이다. 도시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할 기회가 어렵게 찾아온 만큼, 단순 주거 재건축을 넘어 미래세..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사안으로 보면 강선우 후보가 더 문제 아니냐.”“지역대 총장 출신이라 희생양이 된 거다.”“대전 국회의원들은 엄호했어야 했다.”“충청 출신 장관이 1명은 있어야 하지 않나.”이재명 정부 초대 신임 내각 후보 중 유일하게 충청 출신이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의 낙마를 놓고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집권당 내에서 별다른 조력자조차 없이 장관 후보까지 지명돼 기대감을 모았던 이 전 후보. 인사청문회에서도 여러 논란을 정면돌파하면서 비판 여론을 일부 잠재우기도 했지만, 끝내 대통령실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 전부터 쏟아진 의혹..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대전에서는 시민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곳곳에서 혼선을 빚었다. 일부 시민들은 요일제 운영을 숙지하지 못해 헛걸음했고, 대부분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선불카드가 조기 마감됐다. 또한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는 신청 접수처로 오인한 접속자들이 몰리면서 서버가 폭주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이날 오전 9시 대전 서구의 한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접수가 시작되자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센터로 몰렸다. 벽에 붙은 안내문을 확인하거나 직원에게 설명을 듣는 모습이 이어졌고, 대부분 신분증을 손에 쥐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