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내 기업부실연구소 설립 청주에 쏠려

  • 전국
  • 충북

충북내 기업부실연구소 설립 청주에 쏠려

1073곳 중 530곳 달해 … 영동·단양은 각 7·3개뿐 도, 전국比 비중 2.9%로 전략적 지원책 마련 필요

  • 승인 2016-08-17 13:12
  • 신문게재 2016-08-18 18면
  • 이영록 기자이영록 기자
충북 도내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에는 42개 설립에 그쳤지만 점차 연구개발(R&D)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난해에는 146개가 신규로 설립됐다.

하지만 도내 기업부설연구소 중 절반 가까이 청주에 집중된데다 영동, 단양 등 일부 지역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 전국 대비 비중이 적고 도가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6대 신성장산업 및 4대 유망산업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가 적은 편이어서 신규 설립에 대한 전략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7일 '충북지역 기업부설연구소 현황과 활성화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도내 기업부설연구소는 모두 1073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부설연구소는 49개, 중견기업 19개, 중소기업 742개, 벤처기업 263개 등으로 95% 이상 중견·벤처기업에 집중돼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 1만1726개(32.1%)와 서울 1만315개(28.2%)에 쏠려 있으며 충북은 국내 전체 기업부설연구소 3만6533개 중 2.9%(1073개)의 비중에 그치고 있다.

화학업종 기업부설연구소가 198개로 경기(988개)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 높은 수준이며, 식품업(9.6%, 93개)과 생명과학업(6.0%, 54개)이 비교적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충북은 2007년에 42개의 기업부설연구소가 설립된 이후 2008년 41개, 2009년 57개, 2010년 88개, 2011년 75개, 2012년 96개, 2013년 103개, 2014년 123개, 2015년 146개가 신규 설립되는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청주에서만 79개의 새로운 기업부설연구소가 설립됐다. 이같은 기업부설연구소 증가는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의 원천적 기술 경쟁력 뿐 아니라 지역산업 경쟁력과 더불어 국가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래 경쟁력이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한 핵심 과학기술력 확보 여부에 달렸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도내에 설립된 1073개의 기업부설연구소 중 상대적으로 기업이 많은 청주에 530개(49.4%)가 몰려 있고, 음성 18.2%(195개), 진천 12.7%(136개), 충주 8.1%(87개), 제천 33개(3.1%), 옥천 2.8%(30개) 등의 순으로 운영 중이다.

영동과 단양은 각각 7개와 3개로 빈약한 실정이어서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턱없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북도는 2013년부터 기업부설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2006년 대비 2015년 현재 3배 가량 증가한 상황이다.

이는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질 좋은 일자리 창출, 정부 연구개발 예산확보 등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충북연구원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예산 확보와 도내 산업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종합컨설팅 등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청주=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장 빵집 다 있는데 소방서 없는' 대전 중구, 중부소방서 신설 지연
  2. '세종시=행정수도' 완성...여·야 정치권은 동상이몽
  3. 충청권 '교권 침해' 여전… 2024년 교보위 646건 열려
  4. 대전교총 급식 사태에 "학교 필수공익사업장 지정해야"… 학비노조 "쟁의권 제한"
  5. 세종시, 2025년 제1회 추경 1260억 원....총액 2.1조 원 예고
  1. 투쟁 수위 높인 조리원들, 대전 A고 급식갈등 지속… 학교는 뭐 했나
  2. [사설] 대전 3·4·5호선 도시철도망 기대 크다
  3. [사설] 소상공인 울리는 '전화 사기' 대책 없나
  4. 충남연구원 "인구감소세, 도시계획 패러다임 전환 필요"
  5. 대전 중구 석교동 3중 추돌…5명 경상

헤드라인 뉴스


‘재정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 구축돼야

‘재정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 구축돼야

국가의 지속 가능성과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 저출생과 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국가책임 운영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3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해 각 정당 대선후보들로부터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결혼과 출산의 연령이 높아지며 난임 환자가 증가하고, 미숙아 출생 빈도가 늘면서 재활치료가 필요한 아동이 늘고 있지만 체계적인 소아 재활의료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2023년 기준 국내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1.45세로, 평균..

3당이 본 초반판세 민주 "우세" 국힘 "추격" 개혁 "도전"
3당이 본 초반판세 민주 "우세" 국힘 "추격" 개혁 "도전"

제21대 대선 본선레이스가 갈수록 불을 뿜고 있는 가운데 각 당 충청 진영은 필승을 다짐하면서 선거전 초반 판세에 대해 아전인수 해석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후보 지지율 고공행진 등을 근거로 우세를 점치면서도 보수진영 결집 가능성에 대해선 안테나를 세웠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오만하다고 비판하면서 중도층 확장이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 예측불허의 판세가 펼쳐지고 있다고 자평했다. 개혁신당은 이공계 출신 이준석 후보의 과학기술분야 공약 등을 내세워 거대양당과 차별화를 통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대선 정국이 본격화된 가운데..

2029년 충남 천안에 LNG열병합발전소 건립 예정... 주민 우려해소 관건
2029년 충남 천안에 LNG열병합발전소 건립 예정... 주민 우려해소 관건

충남도가 천안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과 2029년도 들어설 LNG열병합 발전소를 연계한 탄소저감 전력 확보 계획을 세웠지만,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정부 공모 선정이 확정적이지 않을뿐더러 특히 LNG열병합 발전소 건립 과정에서 주민반발 등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면서다. 이같은 우려에 도는 열병합발전소 인근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요소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천안이 특화지역에 선정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1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천안지역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 ‘내 일자리는 어디에’ ‘내 일자리는 어디에’

  •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 대전시선관위, 투표를 통한 국민 화합 캠페인 실시 대전시선관위, 투표를 통한 국민 화합 캠페인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