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도깨비에 열광하는 사회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도깨비에 열광하는 사회

  • 승인 2017-02-15 12:27
  • 신문게재 2017-02-16 22면
  • 최충식 논설실장최충식 논설실장

▲ 최충식 논설실장
▲ 최충식 논설실장
안희정 충남지사가 “안깨비 첫눈으로 올게. 대통령으로 올게”라며 드라마 ‘도깨비’의 공유를 패러디했다. SBS TV ‘대선주자 국민면접’에서였다. ‘충남 엑소’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한 안 지사는 ‘안깨비’라는 ‘관제(?) 별명’으로 불리길 원한다. 아무튼 도깨비가 호감 대상인 것은 tvN 드라마 덕이다. 드라마는 불공정 사회에 절망하는 이들의 비상구, 대항적 대리만족 같은 것이었다.

외모부터가 도깨비는 우리가 알던 모습이 아니었다. 부여군 규암면 와리에서 발견된 백제 귀형문전처럼 눈을 부라리고 손가락 3개를 펼쳐든 험상궂은 인상은 더욱 아니었다. 뿔 달리고 호피무늬 옷에 철퇴를 든 것은 일본 도깨비 오니(鬼)의 영향이다. 남자와 친구 맺고 여자에게 성적으로 집착하고 접근하는 전래 도깨비 모습은 공유, 아니 사람을 더 닮았다. “아가, 더 나은 스승일 순 없었니? 더 빛나는 스승일 순 없었어?” 하고 사이다 발언을 하는 섹시한 삼신할머니 역시 전혀 생각지 않던 매력으로 다가온다.

뭐니 뭐니 해도 최대 인기 요인은 드라마가 주는 ‘재미’에 있다. 이것은 설화와 신화를 재창조한 김은숙 작가와 이응복 PD의 힘이다. 감칠맛 나는 대사, 주·조연급 안 가리는 연기력, 도깨비가 시공간 없이 출몰한 안국역 돌담길, 고창 메밀밭, 강원도 주문진의 촬영지들, 공유(도깨비)와 이동욱(저승사자) 브로맨스라는 애정 같고 우정 같은 진한 유대, 음원 차트를 싹쓸이한 도깨비 삽입음악(OST)의 감미로움. 이런 인기에 힘입어 공유 사이트 불법 시청이긴 해도 중국의 사드(THAAD) 보복 조치인 한한령(限韓令)까지 살짝 녹였다. 소설로도 이목을 끌고 케이블TV 재방송에 돌입해 콘텐츠 영향력은 당분간 이어질 태세다.

여기에 사회적인 양념을 가미해 거짓이 진실의 눈을 가려 판타지에 몰입하게 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조금 예를 들면 전대미문의 국정농단 사태로 국정은 멈추고 국민은 각자도생이다. 불황과 고물가에 떠밀려 장발장처럼 먹을거리를 훔치다 전과자로 전락하기도 한다. 복지부동으로 모자라 낙지처럼 땅에 찰싹 들러붙은 낙지부동 공직사회도 있다. 책임지지 않는 정치권, 자기 정치에 빠진 대선 주자들은 허깨비 같은 지지율만 보이고 민생은 안중에 없다. 담론과 시대정신은 어디에 쓰느냐는 식이다. 있다면 포장용일 것이다.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을 니체 식으로 들여다보면 ‘권력에의 의지’들이 벌이는 각축장일 뿐이다.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마저 알듯 말듯 대통령 코스프레 행보를 계속한다. 본래 재상의 재(宰)는 요리를 주관하는 셰프, 상(相)은 그 음식을 서빙하는 사람이었다. 주방장이며 웨이터로서 본분을 망각하고 있다. 나라를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굽는 것과 같다(治大國若烹小鮮)고 노자가 도덕경에서 말했다. 한서에는 즉치민즉시치효(則治民卽是治肴)라 했다. “정치한다는 것은 곧 백성의 음식물을 챙기는 것.” 국정을 요리한다는 말이 실감난다.

그런데 아주 딴판으로 다르다. 음식을 제멋대로 요리하고 독식해버렸다. 막장 드라마가 따로 없다. 조사에 따르면 여성 82%, 남성 25% 정도가 드라마의 영향을 받는다. 만약 도깨비를 빌려 국가·사회 시스템을 개조하려는 욕구가 움직였거나, 물리법칙을 건너뛰어 모든 살과 액과 손을 정의로운 도깨비장난에 맡기고 싶었거나, 불멸의 삶을 끝내려면 인간 신부가 필요한 도깨비처럼 우리 또한 도깨비가 필요했거나, 그 무엇이건 문명과 야만의 이중성을 띤 피로사회에서 도깨비에 위안을 받고 있는 우리가 안쓰럽다. 도깨비를 허깨비라고도 했던 건 실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마른 식빵처럼 팍팍한 현실이지만 이제는 판타지에서 귀환해야 할 때다. 신비로운 낭만 설화를 뒤로 하고 다시 희망을 이야기해야 한다.

최충식 논설실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TX 세종역 카드 폐기...CTX 2개 노선 현실화하나
  2. 여섯권 수첩에 담긴 자필 일기 223편… '김대중 망명일기' 발간되다
  3.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4. 희망의책 대전본부, 제18회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 올해의 책 선정
  5. 대전 6개 교사·공무원노조 "정치기본권 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1.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2. 충남 수해지역 도움 손길 이어져
  3. 35도 폭염에 오전부터 대전·충남 온열질환자 속출
  4. 충남대 '대외협력추진위원회' 위원 41명 위촉… 지역사회 연계 강화
  5. 안철수, "보 철거보단 지류 정비하는 쪽으로"… 이재명 4대강 재자연화 재검토 필요

헤드라인 뉴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2006년 개청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이 20년 만인 2026년 '행정수도청'으로 격상된 조직으로 탈바꿈할지 주목된다. 행복청은 2030년 세종시 국책사업 완성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으나 수년째 2000억 원 안팎 예산으로 축소된 조직을 운영해왔다. 행정수도청이란 새 이름 부여는 5월 1일 조국혁신당, 6월 24일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행정수도특별법'의 연내 통과 여부에 달려 있다. 2003년 12월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 이후 22년 만인 올해 12월 국회 문턱을 다시 넘는다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완성에 한걸음 더..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국민의힘 장동혁 국회의원(충남 보령·서천)은 23일 12·3 비상계엄 유발의 책임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에게 있다는 점을 내세우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과 지지 기반이 취약한 지역 인사 중용 등의 공약도 제시하며 소위 ‘영남 자민련 탈피’도 강조했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박물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은 수단이 잘못되기는 했지만,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 끊임없이 의회 폭거를 저지른 민주당에 커다란 책임이 있고 그에 맞서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내부총질만 일삼았던 국민의힘에게도 나머..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이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을 전제로 한 실행 로드맵을 추진한다. 행정수도 추진을 공약으로 내건 대통령실과 이미 국회법에 따라 관련 절차를 실행 중인 국회 사무처 협의를 전제로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완공 시기는 각각 2029년, 2033년으로 지연될 전망이다.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 당시에는 각각 2027년 완공으로 제시된 바 있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23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대통령 집무실의 경우, 처음엔 부분 이전으로 검토를 했던 적도 있다. 지금은 완전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