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제, 중국 칭다오서 '탈아시아' 가능성 확인

  • 정치/행정
  • 세종

대한민국 축제, 중국 칭다오서 '탈아시아' 가능성 확인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 7월 칭다오맥주 축제 초정 받아 참가
독일과 벨기에, 일본, 마카오 등 주요 도시 관계자 참여 열기
정강환 회장, 직접 연단에서 대한민국 축제 사례 공유
인천 락과 보령 머드, 대구 치맥 페스티벌 소개 눈길

  • 승인 2025-07-24 00:13
  • 수정 2025-07-24 00:14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정강환
정강환 회장은 7월 칭다오 맥주 축제 현장에서 한국 축제의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사진=IFEA Asia 제공.
대한민국 축제가 전 세계 3대 맥주 축제의 중심지 '칭다오'에서 다시 한번 소개되며, 탈아시아 가능성을 재확인했다.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IFEA Asia) 정강환 회장(배재대학교 관광한류축제대학원장)은 7월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제35회 국제 맥주축제에 공식 초청을 받아 연단에 섰다.

지난 7월 19일 IBFA(국제 맥주축제 연합 협력기구, INTERNATIONAL BEER FESTIVALS ALLIANCE COOPERATIVE MECHANISM) 회의에서 한국 축제 사례를 발표하며 아시아 선도국으로서 지위를 분명히 했다. 이 지라에는 맥주를 통한 경제적·사회적 가치 창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관심을 반영한 듯, 독일과 벨기에, 일본, 마카오, 부다페스트 등 주요 도시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정강환 회장은 먼저 '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을 소개하며, "공연장 주변에 수영장, 피크닉 존 등 여가 공간을 함께 구성해 관객들이 '쉼과 음악'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령머드축제'에 대해서는 "머드의 피부 효능에 착안해 체험형 축제를 뷰티 산업으로 확장시킨 성공 사례"라며 "머드 화장품 개발 및 수출로까지 연결된 지역 특화산업형 축제로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눈길을 끈 발표는 '대구 치맥 페스티벌'로, "치킨과 맥주라는 한국의 일상문화를 산업과 연결한 이 축제는 단순한 판매 중심을 넘어, 참여 기업들이 신제품을 실험하고 출시하는 마케팅 플랫폼의 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정 회장은 '진주 남강 유등 축제'를 언급하며, "축제가 개최되는 남강 일대는 야간 조명과 등(燈) 콘텐츠를 통해 지역 전체가 '신야간경제구역'으로 변모하고 있다"며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도시의 야간 경제 활성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정강환 회장은 이날 발표를 마치며 "한국의 대표 축제들은 단순한 관광 행사를 넘어, 산업과 체험, 경제를 연결하는 종합 문화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며 "아시아 각국도 자국 특성을 살린 신개념 축제모델을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날 IBFA 회의에는 칭다오 국제맥주축제 조직위원회를 비롯한 세계 주요 맥주 축제 기관들이 참가해 글로벌 축제 간 협력 방안과 공동 성장 전략을 논의했다.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는 2001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돼 2019년 본부를 한국으로 이전했으며,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 이상과 국제 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세계축제협회 아시아지부는 2001년 싱가포르에서 출범해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 이상과 교류를 이어오고 있으며, 2019년부터 본부를 대한민국에 두고 국제회의, 축제 컨설팅, 전문가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IFEA Asia는 2026년 2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 예정인 아시아 축제 컨퍼런스(IFEA ASIA Festival Conference 2026)를 통해 한국 축제 도시와 해외 주요 도시 간의 실질적 협력 및 공동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희택 기자 press2006@

정강환1
이날 열린 IBFA 회의 모습. 전 세계 각 국 관계자들이 대거 모여 들었다.
정강환4
이날 회의장 연단에 선 정강환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4.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산처럼 굳건하게 아이들이 자라기를"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