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작품공모

  • 문화
  • 문화 일반

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작품공모

  • 승인 2017-04-24 15:26
  • 신문게재 2017-04-25 21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세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창’

한국청소년영상예술진흥원은 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영상작품 공모를 오는 8월 31까지 접수한다.

이번 영상작품 공모는 ‘세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창’을 슬로건으로 오는 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6일 동안 7개 부문 38개 행사를 진행한다.

공모 부문은 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코미디, 뮤직비디오, 실험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영상작품으로, 작품 내용과 시간은 자유이며, 2016년과 2017년에 청소년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한 작품이면 된다.



응모 자격은 아동부문(9세~13세), 해외청소년 및 국내청소년 A부문(14세~19세)과 해외 대학생 및 국내 대학생 등 청소년 B부문(20세~24세), 국제단편영화 부문(25세~45세) 등 4개 부문이며, 수상자는 국회의장, 교육부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문화융성위원회위원장,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사장 등 상장을 받는다.

예선을 거쳐 선정된 본선 진출 작품은 9월 중순 발표되고 10월 24일부터 10월 28일까지 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상영관에서 상영되며, 영상미디어 전문가와 청소년 그리고 일반인 심사위원 심사를 통해 수상작품이 결정된다.

출품 희망자는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참가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해 작품과 함께 이메일(dima2001@naver.com)로 제출하면 된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4.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5. 대전시, 통합돌봄시대 준비 본격화
  1.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2.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3. 한밭수목원'정원 속에 피어난 야생화'축제 열린다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세종시청 테니스부 존치… '남녀 4명' 축소 운영키로

헤드라인 뉴스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목표 설정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대전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재활용시설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